유럽연합(EU)이 배터리 생산부터 재활용까지 전 과정에 환경규제를 적용한다.
한국무역협회 브뤼셀지부가 발표한 EU(유럽연합)의 배터리산업 육성전략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EU는 EU 배터리 연합을 출범하는 등 그린딜 목표 달성과 경제 회복을 위한 미래 핵심산업으로 배터리에 주목하고 있다.
최근에는 배터리 밸류체인 전반에 걸쳐 탄소 배출량, 윤리적 원자재 수급, 재활용 원자재 사용 비율 등 구체적인 환경규정을 도입하는 EU 신배터리 규제안을 발표했다.
앞으로 기준에 부합하는 배터리만 EU 유통을 허가해 EU의 배터리 표준을 국제표준으로 수립하고 배터리 시장의 패러다임을 EU기업에 유리한 방향으로 조성할 방침이다.
특히, 스웨덴은 정부 주도의 정책제안기구인 파슬 프리 스웨덴(Fossil Free Sweden)이 발표한 지속가능한 배터리 밸류체인 전략을 국가 산업전략으로 제안해 주목된다.
탄탄한 기술과 산업기반을 갖춘 스웨덴은 원자재 채굴, 배터리 생산·유통·재활용 등 밸류체인 전주기에 EU의 주요 의제인 그린딜과 탄소중립을 적용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EU 배터리산업의 리더로 도약하는 동시에 국가 산업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EU 배터리 밸류체인 참여기업들은 기술력 및 가격경쟁력이 뛰어난 아시아기업과 차별화하기 위해 그린 배터리 밸류체인을 구축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다양한 분야와 국가·기업 사이에서 합종연횡 협력을 통한 기술개발 EU 금융지원을 활용한 투자 유치 등에 나서고 있다.
무역협회 브뤼셀지부 강노경 대리는 “EU의 신배터리 규제안은 역외기업의 EU 배터리 시장 진출에 비관세장벽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스웨덴처럼 배터리 밸류체인 전 과정을 아우르는 국가적 차원의 전략과 지속가능성 강화 방안을 마련하고 기술·시설 투자와 협업을 통해 국내 배터리의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강윤화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