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적으로 희토류는 생산량이 수요량보다 많다. 중국이 세계생산의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나, 생산 조절기능 없이 과잉 생산함에 따라 세계 시장에 공급초과를 야기했기 때문이다. 세계 희토류 소비는 연간 7억달러(1998년기준) 규모로 1990년 이래 평균 10%씩 증가했으나, 금액으로는 약 5%만 증가했다. 국내 희토류산업은 매우 제한적인 분야에 치중돼 있는데, 응용분야로 형광체 제조, 연마제, 큐빅지르코니아 안정제, 유리 소색제 등이 대부분이고 그밖의 분야는 연구·개발중이거나 연구단계 조차 접근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중 국 중국의 희토류 생산기업들은 수년간 경영상 어려움을 겪어왔다. 희토류 정광의 처리능력 확대와 자국내 메이커간 경쟁으로 평균 가동률이 40% 이하이며 평균가격도 10-30% 하락, 물량은 30% 이상 감소했다. 중국광산보에서도 어려움을 타파하기 위해 원료계 제품 생산규모를 축소하고 하이테크·고부가제품 개발, 제품의 다양화를 통해 세계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는 대응책 마련을 지적한 바 있다. 표, 그래프 : | 희토류 수요동향 | 희토류 매장량 현황 | 중국의 희토상품 구성 | 중국의 희토류 수출 현황 | 중국의 정광생산 | 중국의 희토류 자석 생산실적 | 미국의 희토류 소비구조 | 일본의 Ni-MH전지 생산현황 | 일본의 희토원료 수입추이 | 희토류제품 생산 메이저 | <화학저널 2000/12/4>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바이오연료] 현대오일, 국내 최초 암모니아 저장설비 건설 | 2025-10-22 | ||
| [농화학] 농약, 일본이 국내시장 “군침” | 2025-09-23 | ||
| [에너지정책] 희토류, 국산화 기반 확립 서두른다! | 2025-09-22 | ||
| [바이오연료] 현대오일뱅크, 국내 SAF 시장 진출 | 2025-09-22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바이오연료] SAF, 미국, 세제혜택 타고 성장 국내시장도 활성화 “기대” | 2025-07-2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