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그룹이 국내 수소 생태계 구축을 위해 5년 동안 18조원을 투자한다.
SK그룹은 3월2일 SK인천석유화학에서 정세균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제3차 수소경제위원회에서 수소경제 투자 방안을 발표했다.
1단계로 2023년까지 인천시의 바이오‧부생수소 생산 클러스터 구축 사업과 연계해 세계 최대수준인 액화수소 3만톤을 공급하기로 했다.
2단계로는 2025년까지 이산화탄소(CO2)를 제거한 청정수소 25만톤을 추가 생산해 글로벌 1위의 친환경 수소기업으로 올라설 방침이다.
1단계로 생산하는 액화수소 3만톤은 현대자동차의 수소승용차 넥쏘 7만5000대가 동시에 지구 한바퀴를 도는데 필요한 양이고 나무 1200만그루를 심는 것과 동일한 탄소 저감 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졌다.
SK그룹은 수소경제 투자를 통해 20만9000명의 고용 유발 효과와 사회·경제적 편익 34조1000억원을 창출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SK E&S는 5000억원을 투자해 2023년까지 액화수소 생산기지를 건설하고 2025년까지 5조3000억원을 투자해 천연가스(LNG)에서 친환경 수소를 생산하는 세계 최대 청정수소 생산기지를 완공할 계획이다.
이산화탄소 포집·처리 기술을 활용해 25만톤의 청정수소를 단일 생산기지에서 생산하는 계획은 현재 SK그룹이 유일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최태원 회장은 “수소는 기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생산에 소요되는 부지 면적이 작아 국내 환경에 적합한 친환경 에너지”라며 “SK가 한국 수소 생태계 조성에 앞장서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책임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SK그룹은 회의 후 수소경제위원들과 SK인천석유화학 수소액화 플랜트 예정지와 석유화학공장 등도 둘러보았다. (강윤화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