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제14차 5개년 경제계획(2021-2025년) 초안에 희토류를 비롯한 신소재, 로봇 등 8대 산업을 전략적으로 육성하겠다는 내용이 담아 주목된다.
중국 국무원은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연례 전체회의 개막일인 3월5일 공개한 14·5계획 및 2035년까지의 장기목표 강요 초안에서 2025년까지 적용될 14·5계획의 일환으로 제조업 핵심 경쟁력 강화 차원에서 8대 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8대 산업에는 ▲희토류를 비롯한 신소재 ▲고속철, 대형 LNG 운반선, C919 대형 여객기 등 중대 기술장비 ▲스마트 제조 및 로봇 기술 ▲항공기 엔진 ▲베이더우(北斗)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 응용 ▲신에너지 자동차 및 스마트카 ▲ 첨단 의료장비 및 신약 ▲ 농업기계가 포함됐다.
일부에서는 중국이 첨단 제조업 육성 프로젝트인 중국제조 2025를 부활시킨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중국은 과거 국가 차원의 첨단산업 육성 전략으로 중국제조 2025 개념을 크게 앞세웠지만 미국-중국 무역 분쟁 와중에 미국이 불공정한 산업보조금 정책이라고 공격하자 이후 사용하지 않고 있다.
중국제조 2025 대상에는 항공우주, 정보통신, 로봇공학, 신소재·자동차 등 첨단기술 분야가 대거 포함돼 있다.
국무원은 초안을 통해 2035년까지의 장기 경제계획 차원에서 7대 첨단 과학기술 영역 연구에서 돌파구를 마련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7대 영역으로는 ▲인공지능(AI) ▲양자정보 ▲집적회로 ▲뇌과학 ▲유전자 및 바이오 기술 ▲임상의학 및 헬스케어 ▲우주·심해·극지 탐사가 열거됐다.
리커창(李克强) 중국 총리는 3월4일 전인대 업무보고에서 “기초연구는 과학기술 혁신의 원천인 만큼 안정적으로 기초연구를 위한 자금 조달이 가능하게 보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핵심기술 프로젝트 분야의 난관을 돌파해야 한다”며 “10년 동안 칼 하나를 가는 정신으로 핵심 영역에서 중대 돌파구를 마련해야 한다”고 독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