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양사(대표 송자량‧강호성)가 3D 프린팅 신기술을 개발했다.
삼양사는 현대자동차, 쓰리디팩토리와 자동차부품 픽스쳐(검사구)용 적층·절삭 일체형 PC(Polycarbonate) 및 탄소섬유 복합소재 3D 프린팅 기술을 개발해 국가기술표준원의 신기술 인증을 받았다고 5월24일 밝혔다.
인증받은 신기술은 삼양사가 개발한 3D 프린팅 전용 PC 복합소재에 현대자동차와 쓰리디팩토리의 자동차 부품용 3D 프린팅 기술을 융합해 3D 프린터로 자동차 생산에 필요한 픽스쳐를 만드는 기술이다.
삼양사는 사내 벤처 육성 프로그램을 통해 3D 프린팅을 이용한 대형 제작물 출력용 소재 개발 아이디어를 발굴해 약 14개월 동안 관련 아이디어의 사업화를 지원했다.
신기술을 이용하면 최대 10m 크기 부품을 기존 3D프린터보다 100배 이상 빠른 속도로 출력할 수 있고 0.2mm 이하의 정밀한 가공이 가능해 중·대형 부품용 초정밀 픽스쳐 제작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기술로 중·대형 부품용 초정밀 픽스쳐 생산이 가능해지면 신규 차종 개발속도를 단축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그동안은 새로운 부품이 만들어질 때마다 픽츠쳐 역시 새로 제작해야 해 신차종 개발 속도를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삼양사 관계자는 “기존 픽스쳐는 설계, 제작부터 실제 적용까지 약 1개월 이상의 시간이 소요됐다”며 “신기술을 적용하면 제작 시간은 50% 이상, 비용은 30% 이상 절감된다”고 강조했다. (강윤화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