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차세대 전력 반도체 상용화 사업으로 2년 6개월 동안 390억원의 매출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통상자원부는 7월21일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한국반도체산업협회와 신산업 창출 파워반도체(전력반도체) 상용화 사업 성과 점검 회의를 온·오프라인으로 개최하고 실리콘 및 화합물(SiC‧GaN) 소재 전력반도체의 기반 구축을 위해 2017년부터 2023년까지 총 836억원을 투입한다고 밝혔다.
2019년에는 부산대 및 기장군 의·과학 산업단지에 파워반도체 상용화센터를 구축하고, 국내 유일의 6인치 SiC 파운드리 시제품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참여기업들은 개발을 통해 2019년부터 2021년 5월까지 매출 390억원의 사업화 성과를 창출했다.
대표적으로 A사는 사물인터넷(IoT) 기기용 고효율 배터리 관리 반도체를 개발해 210억원의 매출을 올렸고, B사는 자동차 조향에 활용되는 반도체를 개발해 완성자동차에 납품함으로써 약 80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글로벌 선도기업 수준의 1200V급/1700V급 트렌치(Trench) 형 SiC 모스펫(MOSFET)을 개발하는 등 기술 경쟁력 측면에서도 국내기업의 성장 기반을 확보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SiC 관련 대규모 투자 유치, SiC 반도체·모듈 적용 확대, GaN 공정기술 확보 등 화합물 반도체 시장에서 국내 중소·중견기업의 본격적인 성장 생태계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주장했다. 
정부는 화합물 반도체 상용화·양산기술 확보를 위해 2022년부터 화합물 기반 차세대 전력반도체 기술 개발을 추진한다.
아울러 수요-공급기업 연계 및 공동개발, 국내 제조 인프라 확충 등 화합물 반도체 분야의 경쟁력 확보를 지원할 계획이다.
강경성 산업부 산업정책실장은 “종합 반도체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화합물 기반의 차세대 전력반도체와 같은 전략적 분야를 적극적으로 육성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강윤화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