팜한농(대표 이유진)이 미생물 균주로 해충 번데기 방제에 성공했다.
팜한농은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이 실시한 2021년 농식품 연구개발(R&D) 사업 기술 상용화 실태조사에서 우수한 성과를 인정받아 농업현장 체감부문 원장상을 수상했다.
팜한농은 2016년부터 2018년까지 포스트게놈 다부처 유전체 사업의 미생물 유전체 정보 활용 경제작물 미생물농약 개발 과제에 참여해 전
북대학교 김재수 교수와 함께 살충 활성 미생물 균주 Beauveria Bassiana ERL836을 개발했다.
균주를 활용해 2017년 국내 최초로 총채벌레 번데기 관리용 토양처리형 자재인 총채싹을 출시했고 2020년에는 기능을 개선한 총채싹플러스를 출시해 농업계로부터 호평을 받았다.
그동안 작물의 잎과 줄기에 처리하는 총채벌레 유충 및 성충 방제제품은 많았으나 토양에 처리해 총채벌레 번데기를 방제하는 것은 팜한농 총채싹이 처음이다.
총채벌레는 일명 칼라병을 유발하는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를 전염시켜 농작물에 큰 피해를 주는 해충으로 성충 1마리가 최대 360개의 알을 낳을 만큼 번식력이 강해 방제하기가 매우 어려운 것으로 알려졌다.
팜한농 작물보호연구소의 오기훈 책임은 “탁월한 약효와 우수한 사용 편의성을 갖춘 작물보호제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며 “농업인들에게는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고 농촌의 일손 부족 문제 해결에도 도움이 되는 차별화된 신제품 개발에 앞장서겠다”고 강조했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