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우주항공 분야의 탄소소재 핵심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5000억원의 기술개발 사업을 추진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월18일 서울 밀레니엄 힐튼 호텔에서 탄소소재·우주항공 산업 관계기관 간담회를 열고 탄소소재·우주항공 지원사업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우주항공 분야는 최근 UAM(도심항공교통)의 등장, 민간기업의 우주산업 주도 등 전환기를 맞고 있다.
글로벌 우주항공산업 시장은 2019년 1조31억달러(약 1200조원) 수준에서 2030년 1조3490억달러(약 1620조원)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탄소소재는 초경량·고강도·온도변화에 대한 형상 안정성 등 우수한 물성으로 항공기 동체·날개, 인공위성 발사체, 탐사선 동체 등의 핵심 소재로 사용돼 우주항공산업이 성장하면 탄소소재 수요 역시 증가할 전망이다.
한국 탄소소재 역량은 일본, 미국, 독일에 이어 세계 4위 수준으로 대표 소재인 탄소섬유는 2013년 세계 3번째로 양산에 성공하는 등 선진국 대비 80%의 기술력을 보유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범용·고강도 탄소섬유(강도 4.9-5.6Gpa)는 현재 국내기업에서 생산하고 있고 수소 저장용기, 풍력발전 날개 등의 제조를 위해 공급되고 있다.
그러나 우주항공용 초고강도 탄소섬유(강도 6.4Gpa 이상), 발사체 노즐용 인조흑연은 일본 등 선진국에서 대부분 수입하고 있다.
간담회에 참석한 관계자들은 국내 우주항공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고품질 탄소소재 개발·양산을 통해 소재-부품-완제품 전 주기에 걸쳐 역량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중장기 연구개발(R&D)을 통한 기술력 확보도 중요하나 탄소소재가 시장에 진입할 수 있도록 실증·신뢰성 평가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최우석 산업통상자원부 소재융합산업정책관은 “우주항공 분야를 탄소소재 5대 핵심 수요산업으로 선정하고 수요·공급기업 협의체(탄소소재 융복합 얼라이언스) 운영을 통해 기술개발과 실증지원 등을 추진해왔다”며 “앞으로 우주항공 분야의 탄소소재 6대 핵심기술을 확보하도록 K-카본(K-Carbon) 플래그십 기술개발 사업을 추진하는 등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K-카본 플래그십은 2024년부터 2028년까지 5000억원을 투자해 항공용 CFRP(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부품 응용기술 개발·실증, 초고강도 탄소섬유 개발, 발사체 노즐용 인조흑연 제조·실증을 추진하는 내용으로 예비타당성 조사 사업으로 진행될 계획이다. (홍인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