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폐플래스틱을 상온에서 화학적으로 분해해 원료로 되돌리는 원천기술을 개발했다.
한국화학연구원 조정모 박사 연구팀은 폐플래스틱 재활용의 난관으로 지목된 에너지 사용량과 경제성 문제 등을 극복할 수 있는 저온 해중합 기술을 개발했다.
저온 해중합 기술은 고분자를 화학적으로 분해하고 합성 이전 원료로 되돌릴 수 있는 기술로 폐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병과 폐폴리에스터(Polyester) 섬유를 상온에서 매우 적은 양의 에너지만으로도 완전히 분해해 원료로 재활용할 수 있다.
기존 석유기반 원료를 완벽하게 대체할 수 있는 자원 재순환형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연구팀은 적은 양의 에너지만으로도 다양한 고수율·고순도·고부가 모노머를 제조할 수 있는 플랫폼 생산기술 개발에도 성공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플랫폼은 재생원료 가격이나 시장수요 변동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다목적 친환경 소재 제조공법으로 알려졌다.
한국화학연구원은 2월23일 리뉴시스템에게 저온 해중합 기술을 이전했으며, 리뉴시스템은 석유화학 기반 플래스틱 원료를 대체할 수 있는 재생 모노머를 제조할 때 기술을 응용하고 특수 플래스틱 합성을 위한 고부가 첨가제 원료 제조기술로도 활용할 계획이다.
조정모 박사는 “폐플래스틱 환경오염 문제를 완화하고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기존 석유화학제품 원료를 폐자원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홍인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