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발생한 ESS(에너지저장장치) 화재는 모두 배터리 문제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전기안전공사가 공개한 3차 ESS 화재원인 조사에 따르면, 2020-2021년 전라남도 해남 등 4곳에서 발생한 ESS 화재는 모두 배터리 이상이 원인으로 파악되고 있다.
2020년 5월27일 해남에서 발생한 태양광발전소 화재는 배터리 내부 이상이 원인이었고, 특히 고충전율 사용이 화재 발생 위험을 높인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삼성SDI의 배터리가 사용된 ESS의 당시 배터리 충전율은 95%에 달해 옥외 90% 이하 기준을 초과했으며 조사단이 단층촬영(CT)을 통해 발화된 배터리 셀 내부의 구리 집전체 융용 형상을 확인했다.
조사단은 안전관리자가 화재를 인지하고 소화하려고 했지만 화재가 확산됐다는 점을 지목하며 삼성SDI 배터리 내장 소화설비의 신뢰성에 대한 다각적인 검증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다만, 삼성SDI는 고충전율이 화재 발생 위험을 높일 수는 있지만 충전율이 5%포인트 초과한 것이 화재와 직접적인 연관성은 없다는 의견을 냈다.
또 배터리 내장 소화설비 지적에 대해서는 “안전관리자의 추가 소화활동이 소화시스템의 정상적인 작동을 방해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반박했다.
2020년 9월3일 충청북도 음성, 2021년 3월11일 경상북도 영천, 4월6일 충청남도 홍성에서 각각 화재가 발생한 ESS에는 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가 사용됐으며 모두 배터리 내부 이상에 따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음성, 영천 화재는 모두 운영기록과 CCTV 분석을 통해 배터리가 발화지점으로 분석됐다.
음성 사고는 운영기록에서 셀전압 미세변동 이후 지락 고장(누전), 급격한 전압강하와 온도 상승 발생이 확인됐으며 영천 사고에서는 배터리에서 연기가 난 후 누전이 발생했다.
특히, 영천은 운영기록 저장장치 고장으로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운영기록이 저장되지 않았고 절연감시장치 번호 설정 오류 및 에너지 관리 시스템과 CCTV 시간 불일치 문제도 확인됐다.
홍성 화재도 배터리 전압 이상 발생 후 온도 상승 현상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LG에너지솔루션은 조사 결과에 동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LG에너지솔루션은 2018년 8월 이전 중국공장에서 생산된 ESS용 배터리의 전극 공정 문제에 기인한 잠재적인 화재위험 요인을 조사단에 공개하고 사고 예방을 위해 자발적으로 배터리를 전수 교체했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