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대표 신학철)이 이산화탄소(CO2)로 플래스틱 원료를 만드는 기술을 개발했다.
LG화학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이산화탄소의 일산화탄소(CO) 전환효율을 세계 최고수준으로 높일 수 있는 전기화학 전환 반응기 개발에 성공했다.
일산화탄소는 합성가스(Syngas), 메탄올(Methanol) 등 대체연료와 플래스틱을 비롯한 다양한 화학원료를 생산할 때 필요한 고부가 물질이
며 전기화학적 전환기술은 전기를 이용해 이산화탄소를 일산화탄소 등 부가가치가 높은 탄소화합물로 전환하는 기술이다.
LG화학과 KIST가 개발한 반응기는 일산화탄소 뿐만 아니라 각종 연료 및 화합물의 원료인 합성가스도 만들 수 있다.
특히, 이산화탄소 분해 및 환원에 사용되는 전류 효율이 90% 이상으로 그동안 논문에 보고된 수치 가운데 가장 높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반응기 안에서 셀을 옆으로 쌓는 스택(Stack) 공법을 적용해 현존하는 전기화학적 반응기 중 상업화를 시도할 수 있는 최적규모를 구현한 것으로 알려졌다.
양측은 반응기의 크기를 10배 이상으로 더 키워 실제 양산이 가능한 기술을 확보하고 공기 중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각종 석유화학제품의 원료인 에틸렌(Ethylene)까지 생산하는 기술도 개발해 탄소중립에 기여할 계획이다.
LG화학 최고기술책임자(CTO) 유지영 부사장은 “연구 성과는 KIST와 함께 이산화탄소 전환기술의 상용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한데 의미가 크다”며 “탄소중립 분야의 원천기술 개발을 강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