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대표 신학철)이 석유화학 시황 악화로 부진한 영업실적을 이어갔다.
LG화학은 2023년 1분기 연결 기준 매출이 14조4863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24.9%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은 7910억원으로 22.8% 감소했다.
배터리 자회사 LG에너지솔루션을 제외하면 매출 7조5286억원에 영업이익 1410억원이었다.
석유화학 사업은 글로벌 경기 둔화로 이어진 가전‧건설 침체가 주요제품의 수요 부진으로 이어지며 매출 4조5786억원, 영업적자 508억원을 기록했다.
다만, 4분기 정기보수 이후 가동률을 올리고 있으며 2분기에는 계절적 성수기 진입으로 점진적인 개선이 기대되고 있다.
첨단소재 사업은 배터리 소재 수요 회복을 타고 매출 2조5614억원, 영업이익 2027억원을 기록했다.
2분기에는 금속 가격 하락으로 배터리 소재 매출 및 영업이익이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으나 재고 관리 및 고부가 중심 정보기술(IT)·반도체 소재 판매 확대를 통해 수익성을 유지할 계획이다.
생명과학 사업은 매출 2780억원, 영업이익 164억원을 기록했다.
성장호르몬, 백신 등 주요제품 판매 확대, 에스테틱 사업의 수요 회복과 미국 아베오(Aveo)의 연결 영업실적 반영 등이 매출 성장으로 이어졌다.
2분기에는 당뇨치료제 신제품을 출시하고 주요제품 매출을 늘릴 예정이며 글로벌 임상 진행에 따른 신약 연구개발(R&D)도 확대하며 수익기반 확충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매출 8조7471억원, 영업이익 6332억원을 기록했다.
북미 전기자동차(EV) 배터리 출하 증가와 판매가격 개선으로 매출 호조가 계속됐고 수율 향상,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세제 혜택 예상금액 반영으로 영업이익이 증가했다.
2분기에는 북미 중심으로 수요가 꾸준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미국 현지 생산능력 확대에 따른 세제 혜택 확보를 기대하고 있다.
팜한농은 작물보호제 국내외 판매 확대로 매출 2654억원, 영업이익 341억원을 기록했다.
2분기에는 작물보호제 해외 판매 확대와 비료, 종자 사업구조 개선을 통해 매출 성장과 수익성 개선을 도모할 예정이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