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대표 신학철)이 배터리 소재 매출을 2030년 30조원으로 6배 확대할 계획이다.
신학철 LG화학 부회장은 5월16일 뱅크오브아메리카(BofA)가 해외 기관 투자자 대상으로 개최한 코리아 & 글로벌 전기자동차(EV)·2차전지 컨퍼런스 기조연설에서 3대 신 성장동력 매출 계획을 발표했다.
LG화학은 배터리 소재, 친환경 소재, 혁신 신약 등을 3대 신 성장동력으로 설정하고 있으며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2022년 21%에서 2030년 57%로 확대함으로써 기존 석유화학 중심에서 글로벌 Top 과학기업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배터리 소재는 연평균 26% 성장이 기대돼 매출액을 2022년 4조7000억원에서 2030년 매출 30조원으로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미 두각을 나타내는 양극재 외에 분리막, CNT(Carbon Nano Tube) 등 부가소재 사업을 육성하고 퓨어 실리콘(Silicone) 음극재, 전고체전지 전해질 등 신소재 연구개발(R&D)을 적극 추진할 방침이다.
특히, 하이니켈 양극재는 한국·중국·미국·유럽으로 이어지는 4각 생산체계를 갖추고 생산능력을 현재 12만톤에서 2028년 47만톤으로 확대하며 자회사 LG에너지솔루션 뿐만 아니라 신규 글로벌 수요기업 비중을 40% 수준으로 끌어올릴 예정이다.
친환경 소재는 재활용, 생분해·바이오, 재생에너지 소재를 중심으로 사업구조 전환을 가속화하고 관련 매출을 2022년 1조9000억원에서 2030년 8조원으로 확대한다.
아울러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 신약 5개를 보유한 매출 2조원대 글로벌 혁신 제약기업으 도약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신학철 부회장은 “지속가능한 성장의 기틀을 완성하고 배터리 소재, 친환경 소재, 혁신 신약이라는 3대 핵심사업을 보유한 글로벌 과학기업으로 대전환을 가속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