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인터내셔널(대표 정탁)이 2035년까지 총 126만톤의 청정수소 공급 인프라를 구축한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7월6일 여의도 NH타워에서 투자자 50여명을 초청해 2023 에너지사업 밸류데이를 열고 전국 각지에 2035년까지 126만톤의 청정수소 공급 인프라를 구축하는 한편, 2030년까지 기가와트(GW)급 해상풍력 사업권을 2개 이상 확보해 국내 최대 재생에너지 전문기업으로 도약한다는 목표를 공개했다.
청정수소는 우선 2035년까지 인천 LNG(액화천연가스) 발전 혼소용 수소 인프라를 통해 36만톤을, 포항에는 수소환원제철인 하이렉스(HyREX)용 수소 인프라를 구축해 36만톤을, 광양에는 LNG·수소·암모니아(Ammonia) 복합터미널을 세워 54만톤을 공급할 계획이다.
청정수소 조달은 오만 두쿰(Duqm) PJT 외 중동, 북미 지역과 블루수소 프로젝트 협력을 모색하고 있으며 국내 해상풍력 중심으로 신재생에너지 사업을 확대해 2030년까지 총 2GW급 해상풍력 발전 사업권을 확보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국내에 진출한 글로벌 전문기업과 신안 프로젝트 외 서남권 해상풍력, 동남권 해상풍력 등 2-3개 사업을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2023년 초 포스코에너지 합병을 마무리하고 에너지 밸류체인 구축에 본격적으로 진출했으며 2050 탄소중립 달성 로드맵을 발표함에 따라 앞으로 LNG 밸류체인 완성, 신재생에너지 확장, 청정수소 인프라 구축 등을 통해 그룹 에너지 사업을 이끌 계획이다.
포스코인터내셔널 IR그룹 유근석 팀장은 “에너지 사업은 포스코그룹 제3의 성장동력으로 3년 동안 3조8000억원 투자를 통해 높은 성장성을 보일 것”이라며 “에너지 밸류데이를 시작으로 식량, 친환경 소재 등에 중점을 둔 밸류데이를 개최해 투자자의 이해도를 꾸준히 높일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