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22일 국제유가는 미국의 한파 피해로 급등했다.
한국석유공사에 따르면, 런던원유거래소(ICE)의 브렌트유(Brent) 선물유가는 배럴당 80.06달러로 전일대비 1.50달러 급등했고, 뉴욕상업거래소(NYMEX)의 WTI(서부텍사스 경질유)는 75.19달러로 1.78달러 올랐다.
반면, 두바이유(Dubai)는 1.12달러 떨어져 77.76달러를 형성했다.

국제유가는 미국에서 3번째로 원유 생산량이 많은 노스다코타가 한파 피해를 입어 급등했다.
노스다코타는 최근 한파 피해로 원유 생산량이 평소 일일 127만배럴 대비 약 20%(25만배럴) 감소하는 등 생산 차질이 계속되고 있다.
러시아의 석유 터미널 운영 중단 소식도 국제유가 급등에 일조했다.
러시아 발트해에 위치한 Novatek의 Ust-Luga 석유정제 및 수출 터미널이 우크라이나로부터 드론(무인항공기) 공격을 받아 화재 피해를 입었으며 운영이 중단된 것으로 알려졌다.
Ust-Luga 터미널은 가스 컨덴세이트 정제량이 694만3000톤(14만배럴)으로 나프타(Naphtha), 항공유, 등·경유를 생산하며 주로 아시아로 수출하고 있다.
반면, 리비아의 생산 재개 및 중국 경기 둔화 우려는 국제유가 상승 폭을 제한했다.
리비아 국영 석유기업 NOC는 시위로 약 3주 동안 중단했던 Sharara 유전(생산능략 30만배럴)의 생산을 재개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인민은행은 디플레이션 우려에도 대출우대금리(LPR)를 동결했다. LPR은 중국 시중은행 대출금리의 평균치로 사실상 기준금리 역할을 하며 1년 만기는 3.45%로 5개월 연속 동결됐다.
부동산 불안, 지방정부 채무 문제 등 중국 경기 부진 우려에도 금리를 동결함에 따라 시장에서는 중국 정부의 경기 부양책에 대한 실망감이 대두되고 있다. (강윤화 책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