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계속되는 경기침체에도 철도를 비롯한 인프라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특히, 도로·철도망 신규 건설 및 유지보수 시장이 활발한 가운데 중국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2023년 철도관련 고정자산 투자액은 전년대비 2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철도용 파워반도체 및 화학제품 수요도 강세를 나타내는 등 침체된 중국 경제 중 인프라 시장은 유일한 호황으로 평가되고 있다.
중국 국영 철도기업 China State Railway에 따르면, 2023년 완성분 철도망 자산은 7645억위안(약 145조2626억원)으로 7.5% 증가했으며 고속철도는 총 4만5000킬로미터로 약 2800킬로미터 연장됐다.
반면, 부동산 개발투자액이 약 11조위안(약 2090조1100억원)으로 10% 감소했다.
철도용 화학제품 및 비철금속 수요도 증가했다. 중국은 고속철도차량 1량에 약 500개의 IGBT(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 모듈을 사용하고 있으며, 철도용 인버터용 모듈 뿐만 아니라 알루미늄(Aluminium), 질화규소 등 기판용 세라믹도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금속은 가교 등에 사용하는 구리가 생산·판매 모두 급증했다.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중국의 2023년 구리 생산량은 2217만톤으로 4.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철광산 메이저 1, 2위인 Zijin Mining Group와 CMOC는 2024년에도 생산량을 10-20% 확대할 계획이지만 전기자동차(EV), 송전선용 등과의 조달 경쟁까지 영향을 미쳐 상하이선물거래소(SHFE) 구리 선물 가격은 3월 중순 톤당 7만3000위안을 넘어 2022년 6월 이래 최고가를 경신했다.
다만, 과열된 구리 시장은 공급망에 부작용을 초래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현지 매체에 따르면, 2023년 구리 정제량은 1298만톤으로 13.5% 증가했으나 정련가공 임금은 십수년 래 가장 낮은 수준인 것으로 추정된다. 정련능력 확대에 따른 과잉 경쟁이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정련 메이저들도 2023년 동안 영업실적 개선에 어려움을 겪었다.
메이저 Jiangxi Copper는 영업이익이 증가했으나 Tongling Nonferrous Metal Group과 Yunnan Copper는 순이익이 22%., 12% 감소했으며 다수의 중소기업이 적자를 낸 것으로 알려졌다.
정련기업들은 사업환경 악화와 중국 정부의 지시 등의 영향으로 3월 중순 구조조정 추진에 합의하고 가동률을 전국적으로 낮추기로 한 것으로 파악되나 구리 가격은 4월에도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