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배터리 안전성 인증제를 조기에 실시한다.
국토교통부는 10월15일 광주시 광산구 친환경 자동차 부품 인증지원센터에서 현대자동차, 기아, LG에너지솔루션 등과 배터리 안전성 인증제 시범사업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승용차 부문에서는 현대자동차와 기아가, 이륜차 부문에는 LG에너지솔루션과 그린모빌리티, 대동모빌리티가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으로 출시되는 일부 생산기업의 전기자동차(EV) 및 전기 이륜차는 시중에 판매되기 전에 배터리 안전성 시험을 거치게 되며, 현대자동차의 아이오닉9, 기아의 EV4가 안전성 인증 배터리를 탑재한 첫 승용차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배터리 안전성 인증제는 정부가 자동차에 탑재하는 배터리의 안전성을 사전에 직접 시험·인증하는 제도로 핵심은 20여년간 시행된 안전성 사후 검증 방식(자기인증제)을 배터리 분야에 한해 폐지하고 대신 사전 승인 방식(형식승인제)을 채택한다는 점이다.
한국은 생산기업이 스스로 자동차 인증을 완료하면 정부가 판매된 신규 자동차를 확보해 사후에 안전기준 적합 여부를 검증하는 제작사 자기인증제를 2003년부터 시행했으나 앞으로 완성차 및 배터리 생산기업이 생산·활용하는 배터리는 판매되기 전에 국토부의 인증시험을 거치게 된다.
또 판매 후 적합성 시험에서 부적합 판정을 받으면 시정명령을 이행해야 한다.
정부는 배터리 안전성 인증제를 조기에 안착시킬 방침이며 시범사업으로 참여 의사를 밝힌 5사의 일부 자동차 배터리에 대해 선제적으로 인증제를 시행한다.
인증제가 모든 생산기업에 적용되는 것은 2025년 2월부터이다. 이후 유예기간 1년을 거쳐 2026년부터 정부의 인증을 거친 배터리만 판매할 수 있도록 한다.
자동차관리법에 따라 인증 시험은 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이 수행하며 열충격·연소·과열방지 등 12개 항목을 평가한다.
김동욱 현대자동차그룹 부사장은 “전기자동차 안전성 확보를 위해 완성차기업 가운데 가장 먼저 시범사업에 참여한다”며 “전기자동차 및 배터리 안전 기술 연구개발을 지속하고 정부와 긴밀히 협력해 전기자동차 화재에 대한 국민들의 안전 불안감이 해소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