밸브/유체기계 설계기술 국제세미나 개최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은 밸브 및 유체기계의 국제 기술동향을 파악하고 유체유동해석을 기초로 응력상태를 확인해 최적 설계기술을 보급하기 위해 5월10일 기술표준원 중강당에서 국제세미나를 개최할 계획이다 국제세미나를 통해 밸브의 기술동향을 설계, 제작, 보수유지, 진단으로 분류하고 유체기계의 자동화에 따른 진단, 운전감시 및 자기진단 등 새로운 개념의 기술동향을 제시함으로써 산업현장에서 설계시 쉽고 빠른 설계가 가능하도록 상용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설계의 편이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 밸브의 설계에 있어 디스크의 개폐각도(0, 15, 30, 45, 90°)에 따른 유동해석과 밸브시트 형상 및 주요부품의 응력상태를 FEA(Finite Element Analysis)로 분석하고 ▶ 밸브 및 유체기계의 주요 부품인 기어와 축의 파손원인과 강도를 검증하고자 성능시험 및 평가를 통해 기어의 수명을 진단해 최적 설계방안을 제시한다. 현재 세계 밸브 시장규모는 약 70억달러에 달하고 있으며, 국내시장은 약 9%인 1조원 규모이나 이중 60%인 5억6000만달러 정도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으로 국내에서 설계능력을 확보하면 약 6000억원의 수입대체 효과 및 5억달러의 수출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일반밸브는 품질확인을 거쳐 판매되고 있으나 발전소 및 석유화학 플랜트, 조선, 지역난방배관, 스팀, 저온용 배관 등에 사용되는 밸브는 설계사양에 이론적인 품질시뮬레이션 설계자료를 첨부해 납품토록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대부분의 메이커에서는 설계능력 부족으로 고부가가치 산업용 밸브의 납품 및 수출이 미미한 실정으로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Chemical Daily News 2001/05/10>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반도체소재] 반도체, 5나노미터 설계기술 개발 | 2014-05-02 | ||
[석유정제] 석탄가스화 복합발전 설계기술 개발 | 2008-08-07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자동차소재] 자동차 소재 개발전략, 일본 화학기업 독무대 설계기술까지 확보했다! | 2018-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