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대 도시, 7월부터 저황중유 사용 의무화
서울과 부산 대구 인천 울산 수원 안산 등 7개 도시에서는 2001년7월부터 황함량이 0.3% 이하인 저황중유를 사용해야 한다. 환경부는 6월20일 청정연료 등의 사용에 관한 고시를 개정, 7개 지역의 대기질 개선을 위해 저황중유의 사용을 의무화한다고 밝혔다. 지금까지는 황함량이 0.5% 이하인 일반 중유를 사용해왔다. 7개 도시에 공급되는 저황중유는 하루 12만1000배럴로 전체 중유 사용량의 38%이며, 저황유 공급에 따라 아황산가스 배출량은 40%, 미세먼지는 24%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환경부는 당초 저황중유를 14개 도시에 공급할 계획이었으나 광명 안양 의왕 의정부 동해 여수 포항 등 7개 지역은 환경기준을 안정적으로 달성하고 있어 저황중유 공급대상에서 제외했다. 환경부는 앞으로 저황중유 공급지역을 단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며 특히 월드컵 개최지역인 광주와 대전시는 저황중유 공급시기를 당초 2002년7월에서 2002년초로 앞당기기로 했다. <Chemical Daily News 2001/06/21>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환경화학] 도시유전, RGO 기술로 중동 진출 | 2025-09-18 | ||
[바이오연료] 현대자동차, 미니 수소도시 조성 | 2024-10-15 | ||
[환경] 도시유전, CR 사업 확대한다! | 2023-09-20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합성섬유] 스판덱스, 중국 도시 봉쇄로 직격탄 효성티앤씨 적자 전환했다! | 2023-04-14 | ||
[에너지정책] 수소도시, 한국·일본·EU 활성화 신재생에너지 집합체로… | 2023-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