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자원, "수는 많고 질은 낮아"
국내 유전자원의 수는 세계 6위를 기록하고 있으나 유전적 질과 다양성은 매우 낮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성균관대 생명공학부 정태영 교수는 8월30일 한국감자육종소재은행 주최로 강원대학교에서 열린 제1회 한국감자심포지엄을 통해 우리나라는 유전자원의 양적 확보에 치중해 나머지 종(種)의 다양성이 부족하며 갱신을 필요로 하는 자원이 30%에 달한다고 밝혔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농촌진흥청 종자은행에서 보유하고 있는 종자자원은 모두 14만6000점으로 미국 43만7000점, 중국 35만8000점, 러시아 34만9000점, 일본 20만8000점, 인도 18만1000점에 이어 세계 6위를 기록했다. 그러나 유전자원 가운데 식량작물이 76.2%에 달했으며, 특용작물과 원예작물의 비중은 각각 11.9%와 9.4%에 불과했다. 또 원예작물 중 가지와 고추 등의 과채류 자원이 54.4%를 차지한 반면, 잎사귀를 먹는 엽채류는 18.8%를 차지했으며, 뿌리를 먹는 근채류 및 알리움속 자원은 각각 9.7%, 11.3% 등에 그쳤다. 특용작물도 전체 1만6000여점 가운데 유료작물(油料作物)의 비중이 84.2%에 달했으며 섬유작물 6.4%를 비롯해, 약용작물 및 항료작물이 각각 5.2%, 1.4%를 차지해 자원 보존량이 매우 빈약 한 것으로 집계됐다. 정태영 교수는 첨단 생명공학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 유전자원 관리기구의 확대개편과 관리규정 개선, 산·학·연의 역할분담 등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Chemical Daily News 2001/08/31>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농화학] 농업 유전자원 국가관리체계 구축 | 2006-05-18 | ||
[기술/특허] 생명공학연구원 유전자원동 화재 | 2006-01-02 | ||
[농화학] 식물 유전자원 관리 제도화 | 2001-03-03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바이오화학] 유전자원·지재권 논쟁 첨예 | 2001-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