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 수질환경 정책은 1990년대 들어 많은 변화를 겪었다. 수질문제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먹는물을 공급하는 정수장과 오·폐수를 처리하는 하수처리장의 수가 증가하고 관련 환경정책이 속속들이 나왔다. 1991년 「낙동강 페놀 오염사고」와 1994년 「낙동강 유기용제 오염사고」로 먹는물의 안전성에 대해 관심이 증대되면서 정부는 1993년 「맑은물 공급 종합대책」, 1996년 「물관리 종합대책」, 1998년 「한강수계 상수도 수질 개선 및 주민지원 등에 관한 법률」을 제정했다. 또 환경부는 29종의 수질오염물질, 17종의 특정수질유해물질을 지정하고 생활하수·산업폐수·축산폐수 등에 대한 오염물질 배출기준을 정했으며 1990년 「수질환경보전법」, 1991년에는 오수·분뇨 및 축산폐수 관리에 관한 「오수·분뇨 및 축산폐수의 처리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면서 체계화된 수질환경 정책을 시행하기 시작했다. 먹는물과 하수 처리에 관한 법령 시행기준이 엄격해지고 수돗물과 환경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정부와 일반기업의 수처리제 사용은 더욱 증가하고 있다. 1999년 전기·기계 생산기업의 환경오염방지시설 투자는 2457억원으로 1998년에 비해 183.2% 증가했다. 1차금속 생산기업은 84.6% 증가한 939억9800만원을, 펄프·종이 생산기업은 50.6% 증가한 231억500만원을 투자했다. 정부도 하수종말처리시설을 2001-2005년 177개소 증설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관납 뿐만 아니라 관련기업들의 환경시설 투자증가세를 볼 때 수처리제는 민수시장도 성장을 기대할 수 있는 상황이나 2001년에는 경기불황으로 기업들의 비용절감 정책이 확산돼 전반적으로 시장이 정체된 상황이다. 넓은 의미의 수처리제는 Processing용이 포함되지만 좁은 의미의 수처리제는 정수, 폐수 처리에 들어가는 화학약품을 말한다. 표, 그래프 : | 환경오염방지시설 투자현황 | 환경기초시설 운영현황 | 전국 상수도 시설용량(1999) | 하수종말처리시설 건설현황 | 알루미늄계 수처리제 관납가격 | 알루미늄계 수처리제 관납현황 | 수처리제 지정형환 | 축산폐수처리 시설설치현황 | 환경기초시설 투자실적 | 국내정수장의 수처리제 사용현황 | 활성탄 수요비중 | 국내정수장 응집제 상용현황 | <화학저널 2001/10/15>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석유화학] 프로필렌, 동북아 약세 속 시장 온도차 뚜렷! | 2025-10-28 | ||
| [석유화학] 에틸렌, 국제유가 강세 속 시장 식어간다! | 2025-10-28 | ||
| [바이오연료] 고형연료, RPF 시장 확대 가능성 | 2025-10-24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EP/컴파운딩] 탄소섬유, 복합소재 시장 성장 “가속화” | 2025-10-24 | ||
| [석유정제] 액침냉각, 42조원대 시장으로 급성장한다! | 2025-10-2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