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사현상 - ②성분과 유해정도
|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는 황사는 주로 봄에 발생하고 있다. 발원지가 여름에는 비가 내리고, 가을까지는 땅에 식물이 뿌리를 내리고 있으며, 겨울에는 땅이 얼어있어 모래먼지가 상대적으로 안정하지만, 봄에는 얼었던 건조한 토양이 녹으면서 잘 부서져 부유하기 쉬운 20㎛ 이하 크기의 모래먼지가 많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황사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상조건은 발원지에서의 먼지 배출량이 많아야 하며, 발원지 부근에서 강한 상승기류(강한 저기압)가 존재하고, 발원지로부터 황사가 이동해 올 수 있도록 약 5.5km 고도의 편서풍 기류가 우리나라를 통과하고, 상공에 부유중인 황사가 우리나라 지표면에 낙하하려면 고기압이 위치해 하강기류가 발생하는 등 기상조건이 구비되어야 한다. 서울지역에서는 황사가 1971년 이후 2001년까지 169일 발생했는데, 1991-2001년 105일(1971년 이후 60%)로 1990년대 이후 황사발생 일수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황사 입자의 물리적 특성은 발원지에 따라 크기가 다르나 20㎛보다 큰 입자는 조금 상승하다가 부근에 떨어지고, 그 이하는 부유해 상층까지 올라가게 되는데, 우리나라에서 관측되는 황사의 크기는 1-10㎛ 범위이며, 3㎛ 내외의 입자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황사 입자의 구성성분은 사막지대는 석영(규소) 성분이 많고, 황토지대에는 장석(알루미늄)이 주성분으로 철 성분도 많이 함유되어 있다. 황사 발생시 먼지농도는 서울에서 2001년 시간최고농도가 473-999㎍/㎥으로 평상시인 2000년 평균 72㎍/㎥보다 7-14배 높게 나타났다. 황사시에는 필터에 포집한 먼지의 색깔이 황갈색으로 보이지만 평상시에는 매연 등의 영향으로 검정색으로 보인다. 다만, 황사시 지방환경관리청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별도로 시료를 채취해 분석한 결과, 일반토양에 많이 함유된 철, 망간, 니켈 등 중금속도 평상시보다 높게 측정되었으나, 인체 및 환경에 유해한 납과 카드뮴 등 유해중금속의 오염도는 뚜렷한 변화를 찾기 어려웠다. 황사의 피해 중 가장 큰 것은 시정장애로 황사는 크기가 10㎛ 이하인 입자들로 햇빛을 산란· 흡수하게 돼 하늘이 뿌옇게 보여 시정을 악화시키며, 특히 가시광선의 파장역인 1㎛ 이하에서 심하다. 또 황사는 미세입자(입자크기 2.5㎛ 이하)가 많기 때문에 호흡기에 침착되거나 눈에 들어가 기관지염, 천식, 안질 등의 질환을 일으킬 수 있고, 정밀기기의 가동부에 황사가 흡입돼 오동작할 우려가 있으며, 양이온성 토양금속을 많이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강수나 토양을 중화시키는 작용을 할 수 있다. 이밖에 옷, 차량, 건물 등을 더럽히고, 식물의 잎의 기공을 막거나 잎에 쌓여 생장에 장애를 줄 수도 있다. 반면, 황사 속에 있는 석회 등 알카리성 성분이 산성비를 중화하고, 토양과 호수의 산성화를 방지할 수 있는데, 고비사막과 황토지역의 칼슘성분은 4-6%이며, 국내에 발생한 황사 중 칼슘성분은 2-5% 범위로 나타나고 있다. 식물과 해양 플랑크톤에는 유기염류 제공하기도 한다. 따라서 황사가 발생하면 가능한 한 외출을 삼가고 외출 시에는 마스크 등을 착용하며, 귀가 시에는 얼굴과 손발 등을 깨끗이 씻어야 한다. 또 실내의 출입문, 창문 등을 닫고 필요하면 바람막이를 설치하며, 황사가 소멸된 후에는 건물이나 도로 등에 쌓인 황사는 물걸레질이나 물청소해 재비산을 방지해야 한다. 그래프,도표:<서울지역의 황사 발생현황><황사 입자의 크기 및 무게농도(2000.3.22)><서울시의 평균 중금속 오염도 비교> <Chemical Daily News 2002/03/26>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환경] 황사현상 - ①발생과 대책 | 2002-03-2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