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제품, 중국산 수입비중 하락세
국내 전체 수입 가운데 중국제품이 차지하는 비중이 두 자릿수로 올라선 가운데 중국산 자본재 수입이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자원부에 따르면, 국내 총수입에서 중국산 수입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2년 들어 3월까지 10.7%로, 처음으로 10%를 넘어섰다. 중국산 수입비중은 1990년 3.2%, 1993년 4.7%, 1995년 5.5%, 1999년 7.4%, 2000년 8.0%, 2001년 9.4% 등으로 높아져 왔다. 중국산 수입제품의 용도별 구조를 보면, 광산물과 화학제품 등 원자재 비중이 1990년 82.6%, 1995년 67.7%, 2001년 40.2% 등으로 낮아진 반면, 전자부품과 기계류 등 자본재가 차지하는 비중은 2.0%에서 8.0%, 29.1% 등으로 크게 높아졌다. 직접소비재는 1990년 11.7%에서 1995년 7.5%로 낮아졌으나 2001년 8.9%로 소폭 상승했다. 1995년과 2001년의 비중변화를 보면, 광산물은 14.0%에서 11.7%로, 화학제품은 10.0%에서 8.5%로, 섬유류는 24.1%에서 16.5%로 낮아졌다. 반면, 기계류는 1995년 2.0%에서 2001년 3.6%로 1.6%p 높아진 것을 비롯해 통신기기는 0.5%에서 2.6%로, 컴퓨터는 1.3%에서 7.0%로, 전자부품은 1.8%에서 9.0%로, 중전기기는 1.8%에서 4.8%로, 농림수산물은 11.5%에서 13.8%로 높아졌다. 중국산 수입증가율 및 비중 + 증가율은 전년동기대비 ++ 수입비중=(중국산 수입)/(총수입)×100, 홍콩 제외 화학제품은 의약품이 0.44%에서 0.57%%로 상승하는 등 일부 정밀화학제품의 비중이 늘어났으나, 석유화학제품의 수입이 감소하면서 전반적으로는 비중이 축소됐다. 석유화학제품 수입비중은 1990년 5.5%에서 1995년 2.2%, 2001년 0.9%로 크게 낮아졌으나, 정밀화학제품은 1990년 3.6%에서 1995년 5.0%로 높아졌고 2001년에는 4.8%로 약간 낮아졌다. 플래스틱을 비롯한 고무, 가죽제품은 1990년 0.9%에서 1995년 1.8%로 상승한 후 2001년에는 1.5%로 다시 낮아졌다. 섬유류는 직물비중이 절반 이하로 떨어져 12.5%에서 4.7%%로 낮아진 반면, 의류는 5.6%에서 8.6%로 상승했다. 한편, 중국은 과감한 개혁정책과 외국자본의 적극적 유치를 통해 빠른 경제성장을 기록, 이미 세계 6위의 경제대국으로 부상, 2001년 GDP 순위가 미국에 이어 일본, 독일, 영국, 프랑스, 중국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고도화된 중국 수출산업의 공세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중국과의 산업협력을 강화하는 한편, 기업의 기술력 배양에 박차를 가하고 세계일류상품의 육성을 통해 국내 산업의 구조고도화·고부가가치화를 추진하여야 할 것으로 지적된다. 산자부는 자본재 수입비중이 높아지는 것은 중국도 미국, 일본 등 선진국으로부터의 수입구조와 유사해지며 고부가가치제품을 수출하는 국가로 부상하고 있음을 의미해 대비책이 시급한 실정이라고 강조했다. 중국산 수입비중 변화 (단위: 100만달러, %) + 모든 금액 및 비중은 홍콩을 제외한 수치 표, 그래프: | 중국산 수입증가율 및 비중 | 중국산 수입비중 변화 | <Chemical Daily News 2002/05/09>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배터리] 음극재, 중국산 의존도 98% 달한다! | 2025-10-14 | ||
[무기화학/CA] 차아황산소다, 중국산 반덤핑 판정 | 2025-09-29 | ||
[석유화학] ABS, 중국산 물량 동남아로 간다! | 2025-09-23 | ||
[배터리] 미국, 중국산 흑연에 반덤핑 관세 | 2025-07-18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플래스틱] 플래스틱 국제협약 ②, 플래스틱에 화학제품 포함 생산규제에 리사이클 “공방” | 2025-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