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기술발전지수 세계5위
한국의 기술발전지수가 세계 5위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유엔개발계획(UNDP)이 2001년 발표한 [2001년 인간개발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기술발전지수(Technology Achievement Index)를 세계 5위로 나타났다. 2001년 처음 발표된 기술발전지수의 세계순위는 핀란드, 미국, 스웨덴, 일본, 한국 순이다. 기술발전지수는 기술창출, 신기술 확산, 기존기술 확산, 과학교육을 주요 평가부문으로 총 8개 항목을 조사해 평가하는데, 평가항목은 기술창출(특허 등록건수 및 기술료 수입), 신기술 확산(인터넷 호스트수 및 기술집약상품의 수출비중), 기존기술 확산(전화수 및 전력 소비), 과학교육(평균수학연수 및 과학관련학과 개설비율) 등이다. UNDP는 보고서에서 한국의 기술발전을 높게 평가하면서 한국을 개발도상국 과학기술 발전의 모범이 되는 대표적인 사례로 소개했다. UNDP는 1990년부터 매년 인간개발보고서를 발간하고 있으며, [인간개발보고서 2001]에는 처음으로 기술발전지수(TAI)를 발표했다. 기술발전지수는 UN 회원국 중 주요 72개 국가를 대상으로 기술 창출, 신기술 확산, 기존기술 확산, 과학교육 등 4개 부문의 8개 항목을 평가한 후 평가항목(8개)의 항목별 지수를 산술평균해 산정하고 국가별 순위를 결정했다. 기술발전지수 평가결과 한국의 기술발전지수는 0.666)으로 평가대상국 중 5위로 나타났는데 1위 핀란드(0.744), 2위 미국(0.733), 3위 스웨덴(0.703), 4위 일본(0.698) 다음이다. 상위 평가된 항목은 인구 100만명당 특허등록건수(2위), 기술집약상품의 수출비중(5위), 과학관련학과 개설비율(4위) 등이다. 반면, 낮게 평가된 항목은 인구 1000명당 기술료 수입(20위), 인구 1000명당 인터넷 호스트수(49위), 인구 1인당 전력 소비(31위) 등이다. UNDP는 국민평균수명, 성인의 문맹률, 1인당 국민총생산(GNP) 등을 포함하는 종합적인 인간개발지수(Human Development Index)와 기술발전도를 측정한 기술발전지수(Technology Achievement Index)를 발표하는데 우리나라의 인간개발지수는 2000년에 비해 4단계 오른 세계 27위, 2001년 처음으로 시도한 기술개발지수는 핀란드, 미국, 스웨덴, 일본에 이어 세계 5위를 차지했다. UNDP는 세계 빈곤 감소의 열쇠가 신기술에 달려 있으며, 특히 정보통신과 생명공학 기술이 인간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 크게 기여한다면서 기술개발의 중요성을 크게 강조하고 있다. 기술발전지수(TAI)는 인터넷 사용인구, 기술수출, 특허등록, 기술료, 과학교육 수준 등 네트워크 시대의 혜택을 공유하는데 중요한 기술적 능력에 초점을 둔 측정지표를 토대로 개발된 지수이다. IMD보고서가 R&D 투자, 연구인력, 기술관리, 과학적 환경, 지적재산권 등 총체적 과학기술력(인프라)을 측정·평가한 결과(한국 21위)임에 비해, UNDP의 TAI는 주로 인간의 삶의 질과 직결되는 분야의 요소를 대상으로 측정·평가했다. UNDP가 발표한 세계 주요 국가별 과학기술발전도 순위를 보면 1위 핀란드, 2위 미국, 3위 스웨덴, 4위 일본, 5위 한국, 6위 네덜란드, 7위 영국, 8위 캐나다, 9위 오스트레일리아, 10위 싱가폴 순으로 나타났다. 핀란드가 미국과 스웨덴, 일본에 앞서 1위를 차지한 것은 인터넷 사용비율과 고등과학교육을 받은 국민의 비율이 높기 때문이며, 우리나라도 마찬가지 이유로 5위에 랭크됐다. 반면, 개발도상국의 선두주자로 꼽혀온 인디아는 국민 평균 교육기간이 5년에 불과하고 문맹률이 43%에 이르기 때문에 전체 순위에서는 하위권인 63위에 그쳤다. UNDP는 한 나라에 세계적인 수준의 기술 중심지가 있다고 해서 나라 전체의 발전을 가져오는 것은 아니며, 국민 전체에 대한 교육과 기술개발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표, 그래프: | 기술발전지수 항목분석(UNDP) | <Chemical Daily News 2002/05/15>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석유화학] O-X, 한국 반짝했지만 아시아 부진에 흔들… | 2025-10-17 | ||
[농화학] 농약, 한국 시장 2조원대 성장 | 2025-10-14 | ||
[반도체소재] JX금속, 한국서 반도체 소재 확대 | 2025-09-25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플래스틱] 플래스틱 수출, 중국 중심 예측된 “지각변동” 한국, 직격탄 맞고 휘청거린다! | 2025-10-17 | ||
[무기화학/CA] 칼륨, 반덤핑에도 한국산 선호현상 염화칼륨은 캐나다산 안정화… | 2025-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