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식물로 정수처리장 중금속 제거
|
독일 라이프치히시는 기계식정수처리장 침전물 집하장(축구장의 35배)에 바이오기술을 이용해 정수 처리할 계획이다. 지금까지 사용하던 기계화학적 처리방법인 침전물 화학적 처리, 소각처리는 매년 4500만유로의 비용이 소요돼 예산도 절감하고 환경도 보호할 수 있는 바이오처리법으로 전환하기로 했다. 정수처리장의 환경생태도 유지하고, 정수처리비용도 절약하기 위해 Bio Planta가 개발한 갈대를 이용한 생물학적인 기술처리법을 적용하기로 결정했다. 바이오기술 적용기간은 약 15년이 소요될 것이며, 처리비용은 매년 약 600만유로로 상당한 처리비용이 절감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바이오 정수처리기술의 특징은 갈대 뿌리의 길고, 밀집한 성질을 이용해 동, 아연 과 카드뮴과 같은 중금속을 침전물로부터 흡수 할 뿐만 아니라, 질소 및 인 같은 화합물도 제거할 수 있다. Bio Planta는 더 광범위한 연구를 통해 정수처리장에 적합한 특수한 갈대류를 연구개발하고 있다. <Chemical Daily News 2002/06/18>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바이오화학] 바이오가스, 정제 시스템 적극 육성 | 2025-10-20 | ||
| [플래스틱] SK케미칼, 재활용‧바이오 솔루션 강화 | 2025-10-17 | ||
| [올레핀] 바스프, 아시아 최초 바이오 DMAPA 공급 | 2025-10-15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석유화학] 나프타, 공급과잉으로 수요 감소 바이오화 전환 서둘러라! | 2025-10-17 | ||
| [바이오화학] 중국, 바이오 생태계 조성 본격화 | 2025-10-0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