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래스틱 노령화 "막다른 골목"
국내 전통 주력산업에서 노령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어 성장잠재력이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LG경제연구원에 따르면, 2000년 말 현재 국내 전통 주력산업인 의류와 고무·플래스틱, 섬유, 철강업종의 근로자 평균 연령은 36-39세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의류업종 근로자의 평균연령은 1993년 32.1세에서 37.7세로 5.6세가 높아졌고, 고무·플래스틱과 섬유도 각각 4.2세와 4.1세의 평균연령이 올라가 노령화현상이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반면, 컴퓨터와 통신장비 관련 제조업, 정보처리 서비스업, 소매업의 평균연령은 30-31세로 주력산업과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직종별 평균연령은 사무종사자가 1993년에 비해 0.6세 상승하는데 그친 반면, 기능원과 기계조작원은 각각 1.5세와 2.8세가 높아졌다. 전문가집단에서도 분야별 노령화 차별현상이 나타나고 있는데, 컴퓨터와 보건의료, 법률 및 사회서비스 분야의 전문직종 평균연령은 30-32세에 불과한 반면 과학과 공학분야는 각각 38.2세와 35.5세로 조사됐다. LG경제연구원은 청년계층의 전통제조업과 기능직, 공장직 기피로 전통산업에서 노령화가 심화되고 있는 것은 기술이전과 생산성 하락문제를 야기시키고, 결국 성장잠재력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이고 점진적인 산업구조조정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Chemical Daily News 2002/06/19>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리사이클] 폐플래스틱, 글로벌 환경규제 대응 시급하다! | 2025-10-15 | ||
[에너지정책] LG화학, 유럽 플래스틱 공세 강화 | 2025-10-01 | ||
[바이오폴리머] 플래스틱, 바이오 소재도 K-컬처 | 2025-09-29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플래스틱] 플래스틱 수출, 중국 중심 예측된 “지각변동” 한국, 직격탄 맞고 휘청거린다! | 2025-10-17 | ||
[리사이클] 플래스틱, 폐소재 회수 집중하라! | 2025-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