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수출회복 분위기 "찬물"
최근 환율이 급격히 하락함에 따라 수출기업들의 채산성이 크게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역협회 무역연구소는 5월 6-7일 수출기업 1000사를 대상으로 최근 환율동향이 수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기업의 51.7%가 최근 환율하락으로 채산성이 크게 반감되거나 적자수출이 예상된다고 응답했다. 또 [다소 악화될 것]과 [앞으로 부정적 영향이 예상된다]는 응답도 각각 22%와 22.9%에 달했다. 반면, [영향이 없다]는 대답은 3.4%에 불과했다. 특히, 원화환율이 달러당 1200원까지 떨어지면 응답자의 75.6%가 수출이 4%이상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이와 함께 [만약 환율이 10% 절상되면 수출가격을 인상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는 61%가 [불가능하다]고 대답했으며, [6%이상 인상할 수 있다]는 곳은 8.1% 밖에 되지 않았다. 적정환율은 중화학 부분이 달러당 1296원으로 조사된 반면, 경공업은 1310원으로 다소 높게 나타났다. 또 수출업계의 상당수는 최근 환율급락에 대해 외환당국이 보다 적극적으로 환율안정을 위한 노력을 기울여줄 것을 바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기업의 59.3%가 최근 환율하락이 수출에 악영향이 주기 때문에 정부가 이에 적극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응답했다. 무역연구소는 수출회복이 나타나기 시작하는 시점에서 환율이 급격히 하락함에 따라 수출채산성 악화는 물론 최근의 수출회복 분위기에도 상당한 악영향을 줄 것으로 우려했다. 표, 그래프: | 원화환율 하락의 영향은? | 수출기업이 평가한 적정환율.손익분기점 | <Chemical Daily News 2002/07/11>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석유화학] LLDPE, 공급과잉‧환율 부담에… | 2025-09-29 | ||
[석유화학] LLDPE, 공급과잉‧환율 부담에… | 2025-09-22 | ||
[석유화학] LDPE, 인디아 관세‧환율 악재에… | 2025-09-08 | ||
[화학경영] 삼화페인트, 고환율 영향 적자전환 | 2025-05-16 | ||
[석유화학] LDPE, 환율‧관세에 떨어진다! | 2025-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