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국적기업, "한국은 매력 없다"
다국적기업들 가운데 아시아태평양 지역본부의 후보지로 한국을 우선순위에 두고 있는 곳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KOTRA는 6월 아이앤지(ING), 지멘스 등 다국적기업 지역본부 50곳을 대상으로 홍콩, 싱가폴, 상하이, 한국 등 6개 지역 선호도를 물었더니 1순위로 홍콩을 꼽은 응답자가 26.1%로 가장 많았다고 7월18일 발표했다. 다음으로 싱가폴(23.9%), 상하이(21.7%), 오스트레일리아(19.6%), 말레이지아(8.7%) 차례였으며, 1순위 후보에서 한국을 꼽은 응답자는 없었다. 2순위로 한국을 꼽은 응답자도 7.1%에 불과했고 3순위 18.6%, 5순위 17.9%, 6순위 7.9%로 나타났으며, 4순위가 45.0%로 가장 많았다. 이에 따라 한국의 평균 선호도 순위는 3.97위로 집계됐다. 이는 홍콩(2.19), 싱가폴(2.62)은 물론 상하이(2.98)보다 뒤지는 것이다. 응답자들은 입지요건 22개 항목 가운데 신변안전성을 4.34(5점 만점)로 가장 비중있게 생각하고 있으며, 사회·정치안정, 정보통신인프라, 금융인프라, 사회투명성 등에도 높은 비중을 두었다. 한국은 입지요건 만족도에서 정보통신인프라(4.20)와 교통인프라(3.86), 금융인프라(3.65), 사회·정치안정(3.57) 등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됐다. 반면, 노동유연성(3.09), 출입국용이성(3.11), 사회투명성(3.12)은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KOTRA는 상하이가 다국적기업의 목표시장인 중국본토에 있지만 한국은 사회·정치 안정성, 정보통신 인프라, 신변 안정성, 금융 인프라 등 주요 조건에서 유리한 편이어서 약점만 개선하면 충분히 경쟁이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Chemical Daily News 2002/07/22>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화학경영] 한국, 다국적기업 글로벌 허브로 | 2013-05-07 | ||
[제약] 제약, 다국적기업과 특허분쟁 가열 | 2008-11-13 | ||
[환경] 다국적기업 기후변화 대처 본격화 | 2007-10-10 | ||
[화학경영] 다국적기업 한국투자 활발하다??? | 2002-06-17 | ||
[제약] 외국 제약기업 "한국은 역시 봉" | 2002-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