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투자 "동남아로 몰린다"
해외에 투자한 국내기업의 3분의 1이 중국에 진출해 있지만 향후 투자지역으로는 말레이지아, 인도네시아, 타이, 베트남 등 아세안(ASEAN) 국가들을 가장 많이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해외투자의 성과는 매출신장률이나 시장점유율, 경상이익률 등에서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곳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자원부가 발표한 [제조업 해외 투자현황]에 따르면, 국내 1000여개 제조기업의 20%가 이미 외국에 투자하고 있으며 앞으로 해외 투자를 희망하고 있는 곳도 26%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현재 투자지역은 중국이 34%로 가장 많았고 아세안 25%, 북미 15%, 일본 8%, 서유럽 5%, 중남미 4%, 동유럽 3% 순으로 나타났다. 중국과 동남아 지역의 인건비가 상대적으로 싸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반면, 해외투자를 계획 또는 구상중인 기업의 향후 투자대상국으로는 아세안(37.1%)이 가장 많았고 북미(19.7%), 일본(18.9%), 중남미(7.6%), 서유럽(5.3%), 동유럽(3.8%) 순이었으며 중국(0.8%)은 선호도가 가장 낮았다. 국내 제조기업들은 해외투자의 주요 요인으로 시장점유율 확대(37%)를 꼽았고 생산비용 절감(31%)과 부품조달(7%), 수출감소 대응(7%) 등도 고려한 것으로 응답했다. 그러나 해외투자의 성과에 대해서는 3.0(보통)을 기준으로 매출성장률(2.8), 시장점유율(2.7), 경상이익률(2.6) 등이 모두 보통 수준에도 못미친 가운데 진출한지 오래된 기업일수록 성과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표, 그래프: | 해외진출시점(비중) | 해외진출 투자형태 | <Chemical Daily News 2002/07/24>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배터리] CATL, 해외투자로 K-배터리 압박… | 2025-06-30 | ||
[산업정책] 반도체‧배터리, 해외투자 유치 강화 | 2023-04-26 | ||
[반도체소재] 반도체 소재 해외투자 유치 가속화 | 2021-11-24 | ||
[배터리] 포스코케미칼, 해외투자 본격화한다! | 2021-04-19 | ||
[페인트/잉크] 삼화페인트, 해외투자 성공했다! | 2019-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