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난연제 시장에서 브롬계가 여전히 강세를 보이고 있다. 유해성 시비에 휘말려 있는 브롬계 난연제는 2001년 20-30%의 수요감소세에서 벗어나 수요가 회복되는 가운데 가격도 소폭 상승한 반면, 대체제로 각광받았던 인계 난연제는 전세계적인 공급과잉으로 가격인하 압력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브롬계와 연동되는 산화안티몬도 브롬의 회복으로 인해 성장이 기대되고 있으며 원재료인 Antimony의 국내 공급량 중 90% 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중국의 가격인상으로 가격이 급등하고 있다. 산화안티몬 공급기업들은 유해성 논란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자유롭고 무기계 난연제에 혼합해 사용할 수 있는 점 등으로 시장회복과 신규수요 확대의 2가지 혜택을 누릴 수 있지만, 가격 상승이 걸림돌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브롬계의 강세가 여전한 가운데 대체 난연제로 각광받았던 인계 난연제는 우레탄과 일부 엔지니어링 플래스틱(엔프라) 이후 신규수요처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 또 원재료 가격이 고정된 상황에서 국내 시장에 신규로 가세한 외국기업들이 공격적인 마케팅을 전개해 가격하락을 부추기면서 이중고에 시달리고 있다. 마그네슘과 알루미늄 등 무기계 난연제는 범용 그레이드 시장이 매우 커서 상대적으로 대기업들의 난연제 시장에 대해 큰 메리트를 느끼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시장을 선점한 일본산들의 강세가 이어지고 있는데 최근 국내에서도 벤처기업들이 진출시도를 활발히 전개하고 있어 관심을 모으고 있다. 표, 그래프 | 플래스틱 생산현황 | DBDE 가격추이 | 국내 난연제 시장현황(2001) | TBBA 공급현황 | DBDE 공급현황(2001) | TBBA 수요비중(2001) | TBBA 가격추이 | PO 수급현황 | 산화안티몬 가격추이 | 인계 난연제 공급현황 | 산화안티몬 수급현황(2001) | 산화안티몬 수요구성비 | 수산화마그네슘 수요구성비 | 수산화마그네슘 수입현황 | 수산화마그네슘 수급현황(2001) | <화학저널 2002/11/04>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바이오연료] 고형연료, RPF 시장 확대 가능성 | 2025-10-24 | ||
| [배터리] LiB, NTO로 버스·트럭 시장 공략 | 2025-10-24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첨가제] 난연제, 브로민계 사용규제 강화 수요 회복 지지부진하다! | 2025-10-24 | ||
| [EP/컴파운딩] 탄소섬유, 복합소재 시장 성장 “가속화” | 2025-10-24 | ||
| [석유정제] 액침냉각, 42조원대 시장으로 급성장한다! | 2025-10-2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