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소농도 따라 Acetyl화 구조 변형
|
산소 농도에 따라 Acetyl화라는 새로운 단백질 구조변형이 일어나고 혈관의 생성이 조절된다는 사실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세계 최초로 밝혀졌다. 과학기술부 국가지정연구실 사업을 수행중인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김규원(50세) 교수는 단백체학(Proteomics) 연구의 핵심분야인 단백질 기능 연구에서 단백질의 새로운 구조변형과 그에 따른 혈관생성 기전을 규명해 연구결과가 생명공학분야 세계 최우수 잡지인 <셀(Cell)>지에 게재됐다고 발표했다. 김규원 교수가 발견한 내용은 산소농도가 높으면 세포질에 존해하는 ARD1 아세틸화 효소가 혈관생성 단백질인 HIF-1α의 아세틸화를 촉진해 단백질 분해효소들과의 결합을 증가시킴으로써 HIF-1α의 분해를 유도하고, 그 결과 혈관생성이 저해된다는 것이다. 단백질은 생성 이후 특히 산소농도의 변화와 같은 외부조건에 의해 야기되는 다양한 구조 변형에 의해 여러 가지 새로운 기능을 가지게 되는데, 산소농도에 따라 기능이 달라지는 대표적 HIF-1α(hypoxia-inducible factor-1α)가 악성암, 류마티스성 관절염, 건선, 그리고 당뇨병성 망막증 등의 여러 질환조직 세포에서 과다 발현된 것을 밝힌 것이다. 산소 농도에 따라 혈관이 어떻게 생성되는지가 규명됨으로써 ARD1 아세틸화 효소의 기능을 활성화시키면 혈관생성을 분자수준에서 차단해 악성암, 류마티스성 관절염, 건선조직의 세포성장을 억제시킬 수 있고 당뇨병성 망막증의 치료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또 혈관생성의 촉진이 필요한 궤양 및 상처치료분야, 허헐성 뇌졸중과 심근경색 등 허혈성 질환의 예방과 치료분야에도 적극 활용될 것으로 보여 보건의료 및 제약산업, 인공장기와 생체조직공학 등 첨단 생명공학 산업 발전에 파급효과가 기대된다. <Chemical Daily News 2002/12/03>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석유화학] 나프타, 에틸렌 강세따라 올랐다! | 2025-09-03 | ||
| [화학경영] 롯데케미칼, 신용등급 잇따라 하향 | 2025-07-01 | ||
| [합성고무] 합성고무, 원료가격 따라 희비교차 | 2025-06-02 | ||
| [환경화학] 응집제, AN 따라 같이 올랐다! | 2025-04-24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환경] GX, 선진국 따라잡기 막막하다! | 2025-01-1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