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프로락탐, 샌드위치 신세 전락…
벤젠 가격상승에 나일론 경기 위축 … 일부 가동중지로 공급 타이트 2003년 초부터 불거진 벤젠가격 상승과 카프로락탐 생산기업들의 공급중단 사태가 맞물려 카프로락탐 생산기업들이 수요기업들의 눈치를 보아야 하는 이중고를 겪고 있다.카프로락탐의 원료인 벤젠가격은 2002년 2월6일 FOB Korea 톤당 582.50달러로 1주일만에 35달러 상승했다. 또 Thai Caprolactam이 2003년 2월11일부터 20만톤 플랜트 증설을 위해 적어도 40-50일 동안 가동을 중지함으로써 공급부족이 예상된다. 타이 카프로락탐은 증설이 완료되면 100만톤의 카프로락탐 생산능력을 보유하게 된다. 일본 Mitsubishi Chemical도 3월부터 가동중지를 예정하고 있어 타이 카프로락탐 가동중단과 겹치게 됨으로써 카프로락탐 공급부족 심화가 예상된다. 인디아의 FACT도 2002년 12월부터 2003년 1월까지 2주간 기술적인 문제로 가동을 중단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원료가격 인상과 공급부족으로 카프로락탐 가격인상이 불가피하지만 나일론 경기위축으로 수요처들과의 가격협상에서 진통을 겪고 있다. 카프로락탐 수요기업들은 CFR FE Asia 톤당 1100달러를 희망하고 있지만, 카프로락탐 공급기업들은 2월말 중국수요가 회복될 것으로 보여 CFR FE Asia 톤당 1150-1200달러를 주장하고 있다. 카프로락탐 가격은 2003년 2월7일 현재 CFR FE Asia 톤당 1130-1150달러에 거래됐다. 한편, 국내 유일의 카프로락탐 생산기업인 카프로(대표 김선옥)는 2002년 12만톤을 생산해 효성 6만톤, 코오롱 4만2000톤, 고합 1만8000톤을 판매했다. 카프로는 섬유 3사가 각각의 지분을 투자해 만들었는데 지분의 정도에 따라 카프로락탐을 배분하고 있다. 효성은 사용량의 20%를 카프로에서 구매하고 있고, 코오롱은 50%, 고합은 70-80%를 구매하고 있다. 반면, 태광산업은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카프로는 2004년 12만톤 증설을 완료해 생산능력이 24만톤으로 확대함으로써 증설완료 후에는 생산량 중 일부를 수출하는 방안을 고려중이다. 2002년 국내 카프로락탐 총수요는 35만톤이었고 카프로 생산량을 제외한 나머지 23만톤은 수입량으로 대체했다. 아시아 카프로락탐 거래는 Spot성 거래가 시장을 주도하고 있고 가격변동폭이 커 시장이 불안정한 상황이지만, 미국과 유럽은 수급이 적절히 유지돼 안정되고 있다. <김선환/화학저널 취재기자> <Chemical Journal 2003/02/20>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합성섬유] 카프로락탐, 중국 풀가동으로 타격 | 2024-07-25 | ||
[합성섬유] 카프로락탐, 중국 상승 기대 마라! | 2024-05-23 | ||
[합성섬유] 카프로, 카프로락탐 상승 놓쳤다! | 2024-03-21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합성섬유] 카프로락탐, 카프로, 수소로 사업 전환 아시아 가동중단 잇따른다! | 2025-09-19 | ||
[합성섬유] 카프로락탐, 한국·일본기업 죽쑨다! | 2024-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