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DT, 30년 전 임신장애 지금도…
|
미국 바브라 콘 박사, 2세대 이어 임신율 저하 … 장기적 영향 끼쳐 약 30년 전 DDT에 노출됐던 여성에게서 태어난 2세대의 임신율이 크게 떨어지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DDT는 30년 전만해도 널리 사용됐던 유명한 살충제로 심각한 부작용 때문에 현재는 세계 대부분 지역에서 사용이 금지되고 있다. 미국 여성-아동보건연구소의 바브라 콘 박사는 영국의 의학전문지 <랜싯> 최신호에 발표한 연구보고서에서 DDT가 한창 유행하던 1960-63년 사이 DDT에 노출됐던 여성들이 출산한 딸들의 임신율이 크게 떨어지는 경향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콘 박사에 따르면, 30여년 전 출산 며칠 후 채취해 보관해 두었던 어머니들의 혈액 샘플의 DDT 농도와 현재 27-31살이 된 딸들로부터 측정한 혈중 DDT 수치를 비교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딸들의 임신율을 조사한 결과, 혈중 DDT 수치가 클수록 임신율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혈중 DDT가 ℓ당 10㎍ 올라갈수록 임신율이 32%씩 떨어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콘 박사는 DDT가 조산아, 저체중아 출산 위험을 크게 증가시킨다는 사실이 이미 알려진 만큼 DDT가 여성 호르몬 체계에 장기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놀라운 사실이 못된다고 덧붙였다. <Chemical Journal 2003/07/01>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반도체소재] 반도체, 2030년 1000조원 돌파한다! | 2025-07-17 | ||
| [아로마틱] PIA, MGC가 2030년 철수한다! | 2025-07-02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제약] 핵산 의약품, 2030년 18조원으로 성장 일본 화학기업 참여 본격화 | 2025-10-31 | ||
| [화학경영] 일본 화학기업 경영전략, 2030년대 경영환경 급변 포트폴리오를 대수술한다! | 2025-07-11 | ||
| [바이오연료] 수소, 2030년 회수기술 상용화 | 2025-06-1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