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도체 기술발전 따라가기 숨가쁘다" 국내 전자재료 시장은 세계경제 및 반도체 시장의 회복전망에 따라 상승세가 예상된다.세계 전자재료 시장규모는 약 80조원으로 반도체재료 분야와 디스플레이재료 분야가 각각 25조, 18조원으로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국내시장은 11조원 정도로 전체의 약 14%를 점유하고 있다. 2003년 국내 반도체재료와 디스플레이재료 분야의 시장규모는 각각 2조원, 6조원대를 형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2002년 국내 반도체산업은 PC 수요부진, 공급과잉 등으로 세계 반도체 경기침체가 지속되고 중동전쟁 위험에 따른 경기 불확실성으로 세계 주요 IT기업들이 투자를 감축하면서 부진을 겪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2003년에는 세계 반도체 시장의 회복으로 국내 반도체 수출이 20%대의 증가세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되는 가운데 세계수요가 회복된다면 국내 반도체 수출과 생산이 모두 20%의 신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수입도 IT 경기의 완만한 회복과 관련업종 수출증대에 따른 비메모리, 반제품 수요증가로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2003년 국내 반도체 전후공정 재료 시장은 호조를 보일 전망이다. 다만, 하반기에 미국 및 세계 IT 경기 회복이 다시 지연된다면 국내 반도체 수출 및 생산규모도 전망치를 하회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세계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에 따르면, 2003년부터 2005년까지 반도체 전후공정 재료 시장은 연평균 10% 이상 고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공정 재료 시장은 2003년 147억달러로 2002년보다 12% 성장하며, 후공정 재료 시장은 94억달러로 11.4%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또 시장규모가 가장 큰 웨이퍼는 300㎜ 웨이퍼 수요확대에 힘입어 매년 큰 폭의 증가율(2003년 65억달러 및 2005년 75억달러)을 나타낼 것으로 전망됐으나, 후공정 대표품목인 리드프레임은 2003년 31억달러에서 2005년 33억달러로 성장세 둔화가 예상되고 있다. 따라서 전반적으로 전공정 재료 생산기업들은 성장세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후공정 재료 공급기업들은 사용량 증가율이 점차 둔화돼 성장률이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표, 그래프 | 전자재료 시장규모 | 세계 PC 수요전망 | 전자재료 분류 및 핵심재료 | 반도체 제조원가 구성비율 | 반도체 전공정 화학제품 구성비율 | 반도체 전공정 재료비 구성비율 | 국내 주요 반도체재료 판매현황 | 전자재료 생산기업 매출현황 | 국내 TFT-LCD용 PR Stripper 시장현황(2003) | 국내 실리콘웨이퍼 수급현황 | 국내 PR 시장점유율 | 포토마스크 국내 시장현황(2003) | 국내 반도체용 PR Stripper 시장현황(2003) | 국내 반도체용 고순도 과산화수소 시장규모 | <화학저널 2003/7/28>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석유화학] 프로필렌, 동북아 약세 속 시장 온도차 뚜렷! | 2025-10-28 | ||
| [석유화학] 에틸렌, 국제유가 강세 속 시장 식어간다! | 2025-10-28 | ||
| [바이오연료] 고형연료, RPF 시장 확대 가능성 | 2025-10-24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EP/컴파운딩] 탄소섬유, 복합소재 시장 성장 “가속화” | 2025-10-24 | ||
| [석유정제] 액침냉각, 42조원대 시장으로 급성장한다! | 2025-10-2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