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 국제유가 급등 최악 아니다!
LG경제연구원, 1ㆍ2차 오일쇼크 때와 질적 차이 … 충격 완화될 듯 최근 지속되고 있는 국제유가의 급상승은 1973년과 1979년의 1차, 2차 석유파동 때처럼 세계경제에 큰 충격을 주지는 못할 것이라는 의견이 제기됐다.LG경제연구원은 <국제유가와 세계경제의 향방> 보고서를 통해 “1973년 1차 파동 당시에는 하루 최대 430만배럴, 1979년 2차 파동기에는 560만배럴의 공급 차질이 생겼지만 최근의 국제유가 추이는 과거와는 달리 갑작스런 공급차질 없이 유가 상승세가 장기화되고 있다는 특징이 있으며, 이에 따라 최근의 유가 상승은 과거와 같은 충격은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보고서는 “우선 물가 수준 및 상승률을 고려한 실질가격으로 본 국제유가는 서부 텍사스 중질유는 2004년 1-4월 평균 25달러 수준으로 2차 파동기의 평균 34.9달러에 비해 28.5%나 낮다”고 설명했다. 또 “현재 유가는 명목가격으로는 1980년의 최고기록을 경신해 사상 최고 수준이나 과거 24년간의 물가 상승률을 고려하면 실질가격은 오히려 1980년보다 낮은 편이며 상승률도 1차 파동기의 126.1%, 2차 파동기의 64.4%보다 크게 낮은 10.8%에 그치고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세계 각국의 석유 소비금액 합계치가 세계 전체 명목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03년을 기준으로 2.18%에 불과해 1981년의 6.42%에 비해 크게 낮아진 것으로 그만큼 유가 급등의 충격이 줄어들고 있다는 의미”라고 해석했다. 따라서 “최근 유가급등으로 2004년 세계경제 성장률이 1, 2차 파동기 때처럼 1-2%대로 추락할 가능성은 거의 없을 것으로 보이며, 다만 에너지 다소비형 구조를 갖고 있어 국제수지가 불안한 비산유 개발도상국은 국제유가의 급등으로 석유 수입 부담이 커지게 돼 외환 및 금융 불안이 가중될 가능성은 있다”고 덧붙였다. <화학저널 2004/05/28>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국제유가] 국제유가, OPEC+ 증산 전망 “하락” | 2025-10-02 | ||
[국제유가] 국제유가, 공급과잉 우려에 “하락” | 2025-10-01 | ||
[석유화학] 나프타, 국제유가 뛰자 강세 전환! | 2025-10-01 | ||
[국제유가] 국제유가, 쿠르드 수출 재개 “급락” | 2025-09-30 | ||
[국제유가] 국제유가, 러시아 수출 차질 “상승” | 2025-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