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ㆍ미국산 수입 격감으로 … 잇따른 정기보수도 큰 영향 아시아 지역의 IPA(Isopropyl Alcohol) 수급조절이 하반기 들어 더욱 어려워질 전망이다.아시아 지역으로 유입돼 수급균형의 조정역할을 해온 유럽 및 미국산이 유입되지 않고 있고, 아시아 생산기업들이 잇달아 정기보수를 실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IPA 생산기업들은 수요가 본격적으로 늘어나는 9월을 앞두고 풀가동하며 재고를 확보해두려 하고 있으나 왕성한 수요로 재고수준이 매우 낮은 것으로 알려졌다. 아시아 IPA 시장에는 유럽 및 미국산이 한해 10만톤 정도 유입돼 수급균형을 유지해왔으나 최근 들어서는 유럽과 미국에 비해 가격이 싼 아시아 수출을 자제하고 있고 프로필렌 가격급등 영향까지 더해 마진이 적은 IPA를 생산하는 의욕마저 감퇴하고 있다. 더욱이 아시아에서는 정기보수 및 설비트러블이 잇달아 공급량이 상당량 감소했다. Shell의 싱가폴 플랜트가 7월말 보일러 트러블로 약 20일간 가동을 중지했고, 8월 하순에는 타이완의 李長榮化學(LCY)이 6만톤 플랜트의 3주에 걸친 정기보수에 들어갔으며, 9월1일부터는 新日本石油化學이 약 30일간, 11월에는 Shell이 약 30일간 정기보수에 들어간다. Tokuyama도 10월 약 1주일간 보일러 점검 때문에 가동을 중지할 예정이다. 반면, IPA 수요는 잉크ㆍ도료용 용제를 중심으로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PET병용 Shrink 필름 인쇄용이나 반도체ㆍ액정 등 IT 관련제품이 호조를 보이고 있어 생산기업들이 풀가동하며 대응하고 있다. 9월 이후의 본격적인 수요증가에 대비해 재고를 확보해둘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유럽 및 미국제품의 유입이 없어 재고 확보는 계속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 2003년에는 유럽과 미국에서 약 60만톤이 유입돼 수급균형을 유지했으나 2004년에는 정기보수로 인한 공급감소가 20만톤 정도이고 수요가 3만톤 증가할 것을 고려하면 약 23만톤의 유입이 필요한 상태이다. 특히, 2004년과 2005년에는 생산능력 증설계획이 없어 2004년 하반기에 공급부족에 빠질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편, IPA의 아시아 가격은 매월 등락하고 있으나 일본에서는 2004년 들어 2차례의 인상에 머물러 원료 프로필렌(Propylene)의 가격급등을 충분히 커버하지 못하고 있어 일부에서는 3차 가격인상 의사를 내비추고 있다. <화학저널 2004/09/01>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석유화학] LDPE, 아시아 전역서 약세 흐름… | 2025-05-07 | ||
[제약] 제약사업, 아시아 떠나 북미 집중 | 2025-04-29 | ||
[석유화학] 벤젠, 아시아 부진에 하락세 이어져 | 2025-04-24 | ||
[올레핀] 2-EH, 아시아 공급과잉 장기화 | 2025-04-22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산업정책] 말레이지아, 동남아시아 경제성장 주도 롯데케미칼은 부진 장기화… | 2025-04-25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