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합성수지 수입 감소세 전환
|
PP Copolymer만 증가 … PVCㆍPS는 자급률 확대로 수입 급감 2005년 2월 중국의 합성수지 수입은 Secco의 PE, PS, SM 플랜트 가동기대와 자급률 확대로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특히, HIPS의 감소율이 37.4%로 가장 컸으며, LDPE는 20.1%, PVC는 19.6%, HDPE는 13.2%의 감소율을 나타낸 반면 PP Copolymer는 수입증가율 48.0%로 전월대비 대폭 증가했다. 2005년 2월 중국의 LDPE 수입량은 6만70톤으로 1월 수입량 7만5210톤에 비해 20.1% 감소했고, 2004년 12월 12만4750톤보다 절반수준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HDPE 수입량은 16만9817톤으로 1월 19만5580톤에 비해 13.2% 감소했으나 수요신장세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중동산 공세로 한국산 비중이 특히 감소하고 있는 LDPE와 같이 우려할 수준은 아닌 것으로 분석된다. PP는 HDPE와 함께 수요가 가장 큰 제품으로 자급수준이 낮아 수입은 강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2월은 춘절의 영향을 전반적으로 수요가 감소해 수입강세를 나타내는 PP Homo의 수입도 7.6% 감소한 17만1187톤을 기록했다. PP Copolymer는 1월 수입이 5482톤으로 대폭 감소한 반작용 때문에 48%의 증가율을 나타내며 8114톤이 수입됐다.
ABS는 춘절 이후 유가상승 영향을 가격이 강세를 보였으나 거래가 약세를 나타내면서 수입량도 12만4549톤으로 전월대비 2.2% 소폭 감소했다. PVC는 Formosa의 가동영향으로 수입이 19.6% 감소한 8만4212톤을 기록했다. <한유진 기자> 표, 그래프: | 중국의 합성수지 수입추이(2005) | <화학저널 2005/04/15> |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배터리] 전해액, 기술 고도화 속 중국 “독주” | 2025-10-24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석유화학] 타이 ①, 중국발 공급과잉으로 초토화… 석유화학 사업 재정비 착수… | 2025-10-24 | ||
| [올레핀] PVA, 고부가가치 영역도 중국이 장악했다! | 2025-10-24 | ||
| [배터리] 중국, 전기자동차 생산 대대적 재편… | 2025-10-24 | ||
| [백송칼럼] 중국 의존도를 낮추어야 한다! | 2025-10-2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