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 유통구조 "후진성" 여전
|
제약기업들의 직거래 확대추세에 소규모 도매업이 난립, 제약시장의 과당경쟁이 초래되고 있다. 이에따라 가격질서가 파괴되고 유통문란이 심화되는 등 수급구조가 흔들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95년 의약품 유통은 도매업소가 39%를 차지한 반면 약국 30%, 종합병원 17%, 의원 11%, 기타 3% 등 직거래가 도매업 및 기타를 제외한 전체의 58%에 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영국의 경우 3개 대형 도매업소가 총공급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과 비교해 볼 때 국내 의약품 유통구조가 얼마나 취약한가를 단적으로 증명해주고 있다. 이처럼 국내 제약 생산기업들이 직거래를 확대하고 있는 것은 유통기구의 단순화로 판매비 절감 등 마케팅비용 감축을 통해 이윤 극대화를 추구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제약기업의 직거래 성행은 연구개발비 위주의 경영방식이 아닌 영업중심의 판매조직 비대화로 판매비 및 일반관리비 상승은 물론 과당경쟁으로 인한 가격급락을 유발, 향후에는 제약회사 경영기반을 뿌리채 흔들어놓는 등 많은 문제점을 발생시킬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표, 그래프 : | 국내 의약품 유통구조(1996) | 의약품 매출 및 거래비중 추이 | <화학저널 1996/6/3>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바이오폴리머] 포장재, 단일소재화로 의약품 공략 | 2025-10-21 | ||
| [제약] 한농화성, 의약품 원료 사업 확대 | 2025-07-08 | ||
| [제약] 의약품, 핵산계 하이브리드 합성 | 2025-03-31 | ||
| [제약] CDMO, 핵산 의약품 경쟁 심화 | 2025-03-24 | ||
| [제약] 핵산의약품, 비천연 원료 수요 증가 | 2024-12-1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