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미국 섬유협정 “섬유수출 활기”
KIET, 3년간 6억5100만달러 확대효과 … 수출 감소율 둔화 영향으로 미국과 중국이 11월8일 34개 중국산 섬유제품에 대한 수입쿼터 부과를 내용으로 한 섬유협정을 체결함에 따라 우리나라의 섬유 수출이 3년간 6억5000만달러 가량 증가하는 효과를 거둘 것으로 전망됐다.산업연구원(KIET)이 발표한 <미ㆍ중 섬유협정 타결이 우리 섬유산업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이 중국산 섬유제품에 수입쿼터를 다시 부과하면 중국의 미국 수출에 악영향이 예상돼 섬유협정 타결로 반사이익이 기대된다. 2005년 1월부터 미국이 쿼터를 완전 폐지하면서 1-9월 중국의 미국에 대한 섬유수출은 전년동기대비 61.3% 증가한 반면, 우리나라는 26.7% 줄어 감소폭이 가장 컸다. 이에 따라 미국시장 점유율이 한국은 1.7%로 1.1%p 낮아진 반면 중국은 23.3%로 9.5%p 높아졌고 바지, 셔츠 등 34개 민감품목의 미국수출도 중국은 78.7% 증가했으나 우리나라는 23.2% 감소했다. 우리나라가 미국의 쿼터폐지로 가장 큰 피해를 본 것은 중저가품 위주의 수출구조로 인해 중국과 경쟁관계에 있는 제품이 많았고, 국내기업들이 글로벌 생산체제 구축을 통해 국내생산을 통한 수출보다는 제3국 생산 을 통한 수출을 확대한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미국이 다시 수입쿼터를 부과키로 함에 따라 중국의 미국에 대한 섬유수출이 2005년 96억달러에서 2008년에는 134억달러로 늘어나는데 그쳐 쿼터 폐지가 지속됐을 때와 비교하면 향후 3년간 수출이 242억달러 가량 감소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중국의 섬유 민감품목의 미국수출 증가율도 2006년 5.5%, 2007년 7.8%, 2008년 13.0%로 제한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한국은 중국산 섬유제품에 대한 미국의 수입쿼터 부과에 따른 섬유 수출 감소율이 쿼터폐지가 지속됐을 때와 비교해 2006년 13.8%에서 4.1%로, 2007년 8.2%에서 0.5%로, 2008년 4.8%에서 0.4% 등으로 낮아져 수출이 덜 줄어드는데 따른 상대적인 증가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이에 따라 섬유 수출은 미국의 중국 섬유쿼터 부과로 2006년 1억3600만달러, 2007년 2억2800만달러, 2008년 2억8700만달러 등 3년간 6억5100만달러 가량의 확대 효과를 거둘 것으로 예상된다. <화학저널 2005/11/29>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아로마틱] 벤젠, 중국-미국 수출량 “역전” | 2016-04-08 | ||
[석유화학] 메탄올, 중국-미국 협력관계 주목 | 2014-12-05 | ||
[신재생에너지] 폴리실리콘, 중국-미국 분쟁 심화 | 2013-09-17 | ||
[에너지정책] 이란제재 두고 중국-미국 “갈등” | 2012-01-10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아로마틱] 벤젠, 중국-미국 사이에서 줄다리기… | 2015-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