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화학, 3/4분기 고용도 “주춤”
|
대한상의, 석유화학 EPI 100으로 3p 하락 … 고무ㆍ플래스틱도 100 최근 기업경기실사지수 등 각종 체감경기 지표들이 부진하게 나타나는 가운데 고용 증가세 역시 3/4분기에는 둔화될 것으로 전망됐다.대한상공회의소가 발표한 <2006년 3/4분기 고용전망지수>에 따르면, EP((고용전망지수)가 104로 나타나 기준치인 100을 넘었지만 2/4분기 108보다 낮아져 국내기업들의 고용 확대 추세가 한 풀 꺾일 것으로 조사됐다.
의료ㆍ정밀기기(133)의 고용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전반적으로 업종별 고용증가폭이 2/4분기에 비해 둔화될 것으로 조사됐다. 정유(120), 비금속광물(115), 조선(114), 기계(113), 음식료(110) 등이 2/4분기에 비해 고용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 반면 의복ㆍ모피(97), 섬유(91), 가죽ㆍ가방ㆍ신발(86) 등의 업종은 고용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석유화학과 고무 및 플래스틱은 3/4분기 EPI가 100으로 나타나 2/4분기 103보다는 다소 하락했다. 규모별로는 대기업이 2/4분기 101에서 3/4분기 104로 높아져 고용사정이 개선될 것으로 나왔으며 중소기업은 110에서 104로 낮아졌다. 내수기업(106)은 고용이 증가할 전망인 반면, 수출기업(96)은 환율 영향 등으로 고용이 줄어들 전망이다. 국내기업들의 3/4분기 인력 충원 때 예상되는 애로요인은 지속적인 임금상승(37.6%), 3D업종에 대한 근무기피(30.1%), 소재지 등 지역여건(15.0%), 인력관련 정보 등 고용인프라 부족(14.4%) 순이었다. 국내기업들은 고용 및 일자리 창출을 위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노동 시장 유연화(36.5%) △선진국형 사회안전망 확충(21.1%) △혁신형 중소ㆍ벤처기업 육성(15.3%) △노사관계 법ㆍ제도 선진화(11.1%) △서비스업 등 차세대 성장동력의 확충(6.4%) △평생교육 등 교육제도의 개혁(5.5%) 등의 순으로 응답했다. 표, 그래프: | 산업별 고용전망지수 | <화학저널 2006/06/13> |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산업정책] 여수, 석유화학 위기지역 교부세 추가 확보 | 2025-11-03 | ||
| [화학경영] LG화학, 석유화학 흑자전환 성공했다! | 2025-10-31 | ||
| [산업정책] 석유화학, 고부가화 R&D 로드맵 추진 | 2025-10-31 | ||
| [산업정책] 중국, 석유화학 구조개혁 드라이브 건다! | 2025-10-31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석유화학] 일본 석유화학 재편, 비핵심 사업 매각 본격화 NCC 통합하고 특화한다! | 2025-10-3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