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노소재 연구 독일 표지논문 선정
|
DGIST 임상규 연구원 논문 … 유ㆍ무기 하이브리드 소재 응용 기대 과학기술부 산하 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DGIST) 나노신소재연구팀의 임상규 선임연구원이 독일의 과학 저널 Macromolecular Material and Engineering의 10월호(제8권 291호)에 표지 논문으로 선정됐다.임상규 선임연구원의 Photocatalytic Deposition of Silver Nanoparticles onto OrganicㆍInorganic Composite Nanofibers(유ㆍ무기 복합재료 나노섬유에 은 나노입자의 광증착)에 관한 논문은 유ㆍ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섬유를 전기 방사법으로 제조하는 것과, 나노섬유에 1-2nm 크기의 기능성 금속 나노입자를 안정되고 균일하게 부착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 것이다.
임상규 선임연구원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TiO2(Titanium Dioxide)와 같은 반도체 금속 산화물 나노입자와 고분자로 이루어진 유ㆍ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섬유를 제조한 뒤 반도체 금속 산화물의 고유한 특성을 이용해 유기 Capping Agent를 사용하는 것 없이 은ㆍ금ㆍ백금 등의 금속 나노입자를 반도체 금속산화물 표면에 선택적으로 광증착시키는 방법을 사용했다. 과기부는 “유기 Capping Agent에 의한 기능성 저하 요인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반도체 금속산화물과 금속 나노입자간의 상호작용에 의한 금속 나노입자의 산화 안정성을 부여하는 독창적인 방식으로 향후 항균ㆍ무염료 발색, 전자파차폐, 냄새제거 등의 다양한 기능성을 동시에 가지는 고기능성 유ㆍ무기 하이브리드 소재로의 응용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것에 주목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DGIST는 “임상규 선임연구원의 논문이 실린 Macromolecular Material and Engineering은 독일의 과학 전문 출판사인 Wiley-VCH에서 발간하는 SCI 학술지로서 표지논문으로 실린 것은 큰 의미를 가진다”며 “DGIST의 중점 연구 분야의 하나인 나노 신소재 연구 분야로서 DGIST 나노신소재연구팀의 연구성과를 해외에서도 인정받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지은 기자> <화학저널 2006/10/09> |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정밀화학] 내일테크놀로지, 덴카와 첨단 나노소재 협력 | 2025-10-17 | ||
| [파인세라믹] 세라믹, 일본과 공동 연구개발 추진 | 2025-10-16 | ||
| [기술/특허] 노벨화학상, MOF 연구자 선정 | 2025-10-13 | ||
| [배터리] K-배터리, 차세대 연구개발 “대결” | 2025-08-18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기술/특허] 계산화학, 데이터 활용 연구개발이 대세 화학산업, LLM 활용 모색하라! | 2025-08-2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