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PG 생산 상업화 임박
|
미국, 글리세린 프로세스 개발 … Senergy가 양산체제 구축 바이오 PG(Propylene Glycol)의 상용화가 조만간 이루어질 전망이다.미국 Missouri 대학의 교수이자 Alternative Renewables의 임원인 Galen Suppes 교수는 바이오디젤 생산공정의 부산물인 글리세린(Glycerine)을 원료로 하는 바이오 PG 생산기술을 개발했으며 Senergy Chemicals과 기술이전 협약을 맺은 것으로 알려졌다. Senergy Chemicas은 곧 양산체제를 구축할 계획으로 미국 남부지역에 바이오 PG 6000만파운드 플랜트를 건설하고 이후 생산능력을 1억파운드로 증설할 방침이다. Galen Suppes 교수가 개발한 프로세스는 PG에 대한 선택성이 높고 저온저압 운영이 가능하며 연간 파운드당 50센트의 제조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어 경쟁력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공정은 2단계로 우선 중간제품인 Acetol을 생산한 후 Copper-Chromite 촉매를 이용한 Acetol의 수소화 프로세스를 거치며 PG 생산률은 73%를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에서는 바이오디젤 플랜트가 점증하고 있어 글리세린 확보에도 별다른 문제가 없을 것으로 예상되며 글리세린 부산량은 2009-10년 10억파운드에 이를 전망이다. 한편, ADM(Archer Daniels Midland)도 글리세린 베이스 PG 프로세스를 개발하고 있는데 현재 건설중인 글리세린 베이스 폴리올(Polyol) 설비에 적용할 것으로 알려졌다. <화학저널 2006/10/20>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올레핀] 메탄올, 바이오 원료 다양화… | 2025-10-27 | ||
| [바이오화학] 바이오가스, 정제 시스템 적극 육성 | 2025-10-20 | ||
| [플래스틱] SK케미칼, 재활용‧바이오 솔루션 강화 | 2025-10-17 | ||
| [올레핀] 바스프, 아시아 최초 바이오 DMAPA 공급 | 2025-10-15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석유화학] 나프타, 공급과잉으로 수요 감소 바이오화 전환 서둘러라! | 2025-10-1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