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다롄 석유교역소 본격 가동
				
				
			| 
						 2005년 석유 생산ㆍ수입량의 12% 차지 … 국제유가 영향력 주목 중국 해운물류 중심의 하나로 꼽히는 다롄(大連)에서 12월25일 석유교역소가 현판식을 갖고 정식 운영에 들어감에 따라 국제 원유시장에 미칠 영향이 주목되고 있다.다롄 석유교역소는 상하이(上海)에 이어 중국에서는 2번째로 창설된 원유 및 성품유(成品油) 교역시장이다. 특히, 상하이와 달리 중국 에너지 자원의 보고로 불리는 동북지구에서 생산된 원유가 남방으로 빠져 나가는 이른바 북유남운(北油南運)의 출구이면서 동시에 배후에 석유화학공업단지가 발달해 있다는 강점을 지니고 있다. 다롄을 통해 남방으로 수송되는 원유는 연간 2195만톤으로 인근에 위치한 공업단지에서 성품유로 가공하고 있는 원유 1968만톤을 포함하면 2005년 중국이 생산 또는 수입한 원유 총량 3억1700만톤의 13%를 점유하고 있다. 더욱이 중국은 2년 이내에 국가석유전략비축기지, 유류전용부두, 유류전용철도와 유류전용수송관 등을 다롄 석유교역소 인근에 소재한 다후산(大孤山)반도에 건설키로 했다. 그렇게 되면 중국의 동북지구 뿐만 아니라 중동, 베네주엘라, 러시아에서 들어오는 수입 원유 일부가 비축되기 때문에 다롄 석유교역소의 위상은 더욱 올라갈 것으로 예상된다. 다롄석유교역소가 주목을 받고 있는 이유 가운데 하나는 중국이 세계무역기구(WTO) 가입에 따른 의무사항으로 2007년부터 원유가격에 대한 국가의 통제를 풀기로 함에 따라 중국산 원유가격도 국제시장과 연동될 수밖에 없어 국제 원유시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 때문이다. 실제로 원유가격을 수요와 공급에 입각한 시장 논리에 맡겨두면 엄청난 물량이 거래되는 다롄 석유교역소의 특성상 다롄에서 결정된 가격이 국제원유 시장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구조가 자연스럽게 형성될 것으로 보인다. 더욱이 다롄은 중국의 주요 원유 생산기지와 가공단지가 가깝다는 지리적 이점을 살려 공급을 주도할 수 있는 유리한 위치에 있어 중국유가 형성에도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다롄 석유교역소에서 결정된 가격은 상하이와 함께 에너지 소비대국인 중국의 유가를 대표하는 가격이 될 공산이 크고, 점차 국제유가와도 맞물리게 되면서 국제 원유시장에도 반응을 일으키게 될 것이라고 중국 언론들은 예측하고 있다. <저작권자 연합뉴스 - 무단전재ㆍ재배포 금지> <화학저널 2006/12/29>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올레핀] 에틸렌, 중국 270만톤 추가 가동한다! | 2025-11-04 | ||
| [배터리] LG화학, 중국 손잡고 SiB 소재 시장 진출 | 2025-11-04 | ||
| [정밀화학] 중국, 첨단소재 생산 본격화한다! | 2025-11-03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배터리] 차세대 배터리, 탈중국에 미래형 소재 부상 첨단기술 개발만이 살길이다! | 2025-10-31 | ||
| [제약] CDMO, 중국이 미국 견제 무력화하고 있다! | 2025-10-3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