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SF, 울산에 단열재 공장 건설
아시아 시장 교두보로 활용 기대 … 독일공장은 19만톤으로 확대 BASF가 독일 Ludwigshafen 소재 첨단 단열재 네오폴(Neopor®) 생산설비를 증설하는 한편, 국내에서도 네오폴 생산을 시작할 계획이어서 주목된다.BASF는 네오폴이 기존의 스티로폴(Styropor®) 제품에 비해 원재료 투입은 적은 반면 단열성능이 뛰어나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과 환경보호에 획기적으로 기여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BASF는 독일 네오폴 공장의 생산능력을 6만톤에서 19만톤으로 점진적으로 확대할 계획인데, 기존 생산시설의 일부는 스티로폴 생산에서 네오폴 라인으로 전환할 예정이다. 1차 증설은 2008년 초 마무리해 생산능력을 10만톤으로 확대하고, 2008년 말까지 9만톤 공장을 신규 건설할 계획이다. 한국BASF도 울산공장에서 세계 2번째로 네오폴 생산을 시작할 예정인데, 아시아는 독일에서 전량 수입해왔으나 울산공장이 완공되면 아시아 시장의 교두보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네오폴의 회색입자에는 마치 거울처럼 복사열을 반사하는 미세한 흑연입자가 함유돼 있어 주택의 열 손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독일은 1차 에너지 중 1/3이 가정의 냉난방에 사용되고 있어 에너지 효율이 높은 새로운 주택을 건설하고 단열효과가 떨어지는 낡은 건물을 적절히 개조한다면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동시에 이산화탄소 방출을 감축할 수 있기 때문에 네오폴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BASF는 매년 난방을 위해 평방미터당 25리터의 석유를 사용하는 오래된 주택에 단열재를 시공하면 난방에 필요한 에너지 사용량을 7리터로 줄일 수 있어 80평방미터의 아파트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연간 1440리터의 난방유를 절약할 수 있고 동시에 이산화탄소 방출량 역시 4600kg으로 감소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한 네오폴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80평방미터의 주거공간을 기준으로 약 1000리터의 난방유가 소요되나 단열재를 시공한 후 난방이 이루어지는 첫 해에 모두 회수가 가능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BASF는 네오폴을 이용한 고효율 에너지 주택을 전세계에 건설해 왔으며 연료 사용량을 기존의 1/3 수준으로 절감한 고효율 에너지 하우스 <3리터 하우스>를 유럽 및 한국 인터넷(www.neopor.de)에 선보인 바 있다. <화학저널 2007/03/28>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염료/안료] 안료, 울산에서 글로벌 혁신 주도 | 2025-06-26 | ||
[무기화학/CA] BGF, 울산에 무수불산 5만톤 건설 | 2024-06-14 | ||
[신재생에너지] 쉘, 울산에서 해상풍력발전 개발 | 2021-09-01 | ||
[바이오연료] SK가스, 울산에 수소복합단지 건설 | 2021-06-08 | ||
[안전/사고] 울산에서 페놀수지 반응기 폭발 | 2020-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