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열매체, 에너지 효율 “재조명”
|
일본, ITㆍ전자와 정밀화학용 수요 증가 … 환경 자율관리 적극 추진 유기열매체는 화학 플랜트를 비롯해 온도관리가 필요한 프로세스에서 필수불가결한 물질로 아시아를 중심으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일본에서는 ITㆍ전자와 의약품ㆍ정밀화학 신규 플랜트가 건설되고 있고 화학분야에서도 고기능 수지 등이 생산되는 등 시장전망이 밝아지고 있다. 원유가격 급등에 따른 에너지 절약 요구가 고조되면서 열 매개를 사용한 전열시스템 유용성이 재조명되고 있기 때문이다. 유기열매체는 와이드 렌지에서 온도관리가 필요한 화학 프로세스 등에서 이용되는 전열매체로 플랜트의 혈액이라고도 불리는데 재생도 가능하고 200℃ 이상의 스팀 가열 한계를 초과하는 고온에서도 사용할 수 있어 석유화학과 합성수지, 섬유공업 등에서 활발히 채용되고 있다. PTA(Purified Terephthalic Acid)와 폴리에스터(Polyester) 섬유ㆍ수지, SM(Styrene Monomer)과 Styrenic 수지, PC(Polycarbonate)와 PPE(Polyphenylene Ether) 등 고기능 수지용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최근에는 대형 플랜트 신설이 감소하면서 열매체 기준 100톤을 넘는 대형 수요처가 줄어들고 있다. 다만, 일본에서도 고기능수지 플랜트가 건설되는 등 의약품을 중심으로 한 정밀화학과 전자, 환경 분야가 꾸준히 건설되며 모두 안정적인 신장을 나타내고 있다. 정밀화학 가운데에서도 의약품 및 의약중간체 제조분야는 약사법 개정ㆍ시행에 따라 제약 아웃소싱 흐름이 강화되고 제약 메이저의 재편ㆍ합병 움직임도 앞으로 가속화돼 설비 갱신과 확대가 이어질 전망이다. 특히, ITㆍ전자부분의 수요증가가 예상되는데 프린트 기판 가공용 등으로 열매체 시스템이 보급되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금형온도를 균일화하기 위한 프린트 적체 Hot 프레스 공정에서 사용되고 있는데 아직 수요가 많지 않지만 서서히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ITㆍ전자분야는 프로세스 변경 등 생산공정 변화가 심해 일시에 수요가 확대될 가능성도 있다. 원유가격 급등이 이어는 가운데 에너지 효율이용이 요구되며 코스트 감축이 큰 과제로 대두되고 있어 고도 열매체 시스템 수요가 활발할 전망이다. 앞으로 지구온난화 대책과 관련해 효율적인 에너지 이용이 요구되면서 열매체 및 시스템이 한층 주목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합성계 유기 열매체는 일반적으로 안정성이 높아 환경에 방출되면 분해되지 않고 장기간 잔존될 것으로 예상된다. 화학제품 사용ㆍ관리에 대한 의식이 고조되는 가운데 합성 유기열매체 주성분 중 Diisoprpyl Naphthalene, 수소화 Triphenyl, Diethylphenyl, Dibendyltoluene, Triethylbiphenyl 5가지 물질이 <화학물질 심사 및 제조 등 규제에 관한 법률> 제1종 감시화학물질로 지정됐다. 이에 따라 제조ㆍ수입기업인 Nippon Steel Chemical, Syuken Technics, Matsumura Sekiyu, Solutia Japan은 화학제품공업협회에 <열매체 자주관리위원회>를 설치해 합성계 유기열매체 제조단계 뿐만 아니라 물류, 사용, 폐기와 같은 모든 분야, 전체 라이프사이클에서 리스크 감축을 위한 자율 관리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화학저널 2008/01/24>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신재생에너지] 한화큐셀, APEC에서 에너지 전환 비전 제시 | 2025-10-23 | ||
| [안전/사고] SK에너지, 정유공장 정기보수 중단 | 2025-10-21 | ||
| [배터리] LG에너지, 열 폭주 막는 전해질 기술 개발 | 2025-10-20 | ||
| [안전/사고] SK에너지, 울산공장 사망 사고 “사과” | 2025-10-20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바이오연료] 원자력, SMR 중심 에너지 혁명 화학·AI 구세주 부상한다! | 2025-10-2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