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ㆍSK, 우즈벡과 석유화학 합작
가스공사ㆍSTX도 합작 참여 … 수르길 가스전 개발에 육상광구 탐사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이 합작투자기업을 설립해 대규모 가스전 개발과 석유화학 건설사업을 연계해 추진해나가기로 했다.산업자원부에 따르면, 한국가스공사 컨소시엄과 우즈베키스탄 국영석유기업 우즈벡네프트가즈는 2월25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이슬람 카리모프 우즈베키스탄 대통령과 김영주 산자부 장관이 참석한 가운데 수르길 가스전과 석유화학단지 건설사업을 추진하는 합작투자기업 설립 협정서를 체결했다. 양측의 지분비율은 50대50이며 한국측 지분 50%는 가스공사와 롯데대산유화가 각각 17.5%, LG상사와 STX에너지, SK가스가 각각 5%를 보유하고 있다. 2년 전 양국이 정상외교 과정에서 개발에 합의했던 수르길 가스전은 매장량이 액화천연가스(LNG)로 환산 9600만톤으로, 국내 3.7년 소비량에 달한다. 가스전 개발과 함께 건설되는 가스화학 플랜트가 2012년 상업운영에 들어가면 28억㎥(LNG환산시 200만톤)의 천연가스와 생산능력 36만톤의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8만톤의 PP(Polypropylene)을 생산하게 되며 생산제품은 우즈벡은 물론 서유럽과 기타 독립국가연합(CIS)지역, 중국 등으로 판매할 계획이다. 가스공사 컨소시엄의 수르길 가스전 패키지 개발 외에 대우인터내셔널과 우즈벡네프트가즈간의 우즈벡 35광구, 36 육상광구 탐사계약도 체결됐다. 계약에 따라 대우인터내셔널은 양 광구의 지분 전량을 확보하고 광구 운영권자로 앞으로 5년간 탐사활동을 전개할 계획이다. 우즈베키스탄과 카자흐스탄 국경에 인접한 광구로, 기존에 발견된 가스전이 존재하며 러시아의 Gazprom, 중국 해양석유총공사(CNOOC) 등이 탐사활동을 벌이고 있는 곳이다. 대우측은 “5년간 적극적 탐사활동을 전개할 계획이며 석유 또는 천연가스 유망광구 개발을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국은 2005년 우즈베키스탄과 자원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이후 수르길 가스전 외에도 나망간ㆍ추스트 석유광구, 우준쿠이 가스전, 자파드노 금광탐사광구, 잔투아르 우라늄광 공동조사 협력 MOU, 아랄해 가스전 공동개발계약 등을 체결하며 자원개발 진출을 확대하고 있다. <화학저널 2008/02/25>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에너지정책] 우즈벡과 40억달러 자원개발 계약 | 2011-08-23 | ||
[석유정제] 우즈벡과 가스ㆍ석유화학 합작투자 | 2007-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