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play Search, 양사 점유율 49.9% … 2/4분기 이후에도 과점 지속
화학뉴스 2011.05.11
TV, PC, 노트북 등에 사용되는 TFT-LCD(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패널의 절반을 국산이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수량 면에서는 LG디스플레이, 금액 면에서는 삼성전자가 각각 1위를 차지했다. 5월11일 Display Search가 발표한 <대면적 TFT-LCD 출하량 리포트>에 따르면, 1/4분기 판매대수는 9인치를 초과하는 TFT-LCD 패널은 1억7367만대로 전년동기대비 증가했으나 전기대비로는 소폭 감소했다. LG디스플레이는 4568만6000대로 시장점유율 26.3%에 달했고, 삼성은 4100만9000대(23.6%)로 뒤를 이었다. 양사의 점유율을 합치면 세계에서 팔리는 대면적 TFT-LCD의 49.9%가 한국산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TV용은 5554만7000대로 LCD 시장의 32%를 차지한 가운데 LG디스플레이 1260만6000대(7.3%), 삼성전자 1234만1000대(7.1%), Chi Mei 1173만대(6.8%), AUO 828만5000대(4.8%), 샤프(Sharp) 497만대(2.9%), 파나소닉LCD(Panasonic LCD) 316만5000대(1.8%) 순이다. 2-4/4분기에도 LG디스플레이 1538만6000-1959만5000대, 삼성전자 1498만2812만대, Chi Mei 1305만5000-1745만대 등을 판매해 비슷한 점유율을 유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PC 모니터용은 4789만4000대가 출하돼 LCD 시장의 27.6%를 차지했으며 Chi Mei가 1147만5000대(6.6%)로 수위에 올랐고 LG디스플레이 169만대(6.2%), 삼성전자 984만대(5.7%), AUO 747만5000대(4.3%) 등이 뒤를 이었다. 노트북용 LCD(4756만3000대, 27.4%)는 LG디스플레이 1669만대(9.6%), 삼성전자 1275만7000(7.3%), AUO 911만5000대(5.2%),Chi Mei 545만대(3.1%) 순이었다. 한편, LCD 가격은 2010년 초부터 최근까지 하락세를 거듭하면서 평균 판매가격(AUP)이 떨어져 1/4분기 글로벌 시장규모는 192억5000만달러로, 출하량이 훨씬 적었던 2010년 1/4분기(216억000만달러)에 비해 많이 축소됐다. <저작권자 연합뉴스 - 무단전재ㆍ재배포 금지> <화학저널 2011/05/11>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전자소재] 삼성, LCD패널 사업 정리 “초읽기” | 2016-06-16 | ||
[화학경영] LGD, LCD패널 폭락으로 적자… | 2015-12-30 | ||
[전자소재] LCD패널, LG-삼성 선두다툼 치열 | 2015-03-31 | ||
[반도체소재] LCD패널, 중국 수요 둔화로 위기… | 2014-12-17 | ||
[전자소재] LCD패널, 2015년 공급초과 우려 | 2014-12-11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