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1일부터 전기요금이 평균 4.9% 인상된다.
지식경제부는 7월26일 <전기요금 인상방안과 전력 수급 대응책>을 발표하고 주택용 전기요금을 2.0% 올리고 농사용은 동결하는 반면, 산업용과 일반용(상업용)은 각각 2.3-6.3% 올리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도시 4인 가구는 월평균 4만원에서 8000원, 산업용은 사업장당 월평균 468만원에서 28만6000원 추가 부담해야 한다.
아울러 2012년부터는 대규모 산업용, 일반용 수요처를 대상으로 동·하절기, 피크타임 등 전력 사용량이 많은 때에는 높은 요금을 적용받도록 계약하는 선택형 전력피크 요금제가 도입된다.
주택용도 8월부터 계절·시간대별로 전력요금을 차등 적용하는 제도를 시범 도입한 뒤 2012년부터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이와 함께 2011년 안에 전열기에 에너지비용 표시제도를 도입하고 냉장고, 세탁기 등 주요 가전제품의 효율등급 기준을 20-30% 높여야 한다.

산업분야의 대표적 전력 소비부품인 삼상유도 전동기(모터)도 2015년부터 단계적으로 프리미엄급 생산․판매를 의무화하고 기존제품은 퇴출시키기로 했다.
<전기요금 인상방안과 전력 수급 대응책>에 따라 전체 전력 소비의 54%를 차지하고 있는 산업용은 대형건물용 고압요금이 6.3% 오르고, 중소기업용 저압요금은 2.3% 인상된다.
일반용도 영세 자영업자용은 2.3%, 대형건물용 고압요금은 6.3% 각각 올리고 전통시장에서 일반용 저압을 쓰는 소매업 요금은 동결하기로 했다.
또 원가회수율이 낮은 교육용, 가로등용은 6.3% 올리고, 일부 사회복지시설 등으로 적용이 제한돼 전력 소비도 미미한 심야전력용은 8.0% 인상한다.
특히, 소비성 전력 과소비 억제를 위해 월 평균 1350kWh 이상 사용하는 5000가구 가량의 호화주택에 대해서는 초과 사용량에 대해 kW당 110원 가량의 할증요금을 부과하기로 했다.
지경부는 전기요금 조정을 통해 전체 사용량의 1.1%에 해당하는 연간 51억㎾h의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고, 액화천연가스(LNG) 수입액도 6176억원 감소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