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유가, 투기세력이 급등락 조장
정부, 글로벌 공조체제 강화 독려 … 저금리로 단기성 투기자금 홍수
화학뉴스 2012.04.09
정부는 글로벌 투기세력의 장난으로 국제유가가 급등한 것으로 보고 국제사회와 공조해 파생상품 시장 규제를 강화하기로 했다.
기획재정부는 4월8일 발표한 <유가변동성 완화에 대한 G2O 논의동향> 보고서에서 국제유가를 안정시키도록 글로벌 공조를 독려하겠다고 밝혔다. 4월19일 열리는 G20 워싱턴 재무장관회의에서 파생상품 시장 규제를 만드는데 국제적 지지를 구하기로 했다. 최근 국제유가가 폭등한 것은 수급문제 뿐만 아니라 투기세력의 영향이 크게 작용했다는 판단에 따른 대응이다. 국제유가는 이란 사태와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잉여 생산능력 감소로 공급이 줄고 신흥국의 수요증가로 연일 최고치를 갈아치우고 있다. 저금리 기조가 이어지면서 투기성 단기투기자금이 쏟아지고 있기 때문으로, 최근 2개월간 뉴욕상업거래소의 원유 선물 순매수포지션은 50% 가까이 치솟았다. 원유 선물시장은 1970년대 석유파동의 위험을 분산하려고 만든 이후 투자은행(IB)과 헤지펀드가 뛰어들면서 거대화됐고, 한때 평균 거래량이 실물시장 수요의 9배에 달했다. 따라서 국제유가를 쥐락펴락하는 것은 실물이 아닌 페이퍼(Paper) 투기 거래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으며, 파생상품 시장이 발달한 미국, 영국은 투기자본이 국제유가를 올린다는 증거가 없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대다수는 규제를 원하고 있다. 정부는 4월 열리는 G20 재무장관회의와 6월 멕시코 정상회의에서 원자재 가격변동성 완화 방안을 추진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연합뉴스 - 무단전재ㆍ재배포 금지> <화학저널 2012/04/09>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국제유가] 국제유가, OPEC+ 증산 전망 “하락” | 2025-10-02 | ||
[국제유가] 국제유가, 공급과잉 우려에 “하락” | 2025-10-01 | ||
[석유화학] 나프타, 국제유가 뛰자 강세 전환! | 2025-10-01 | ||
[국제유가] 국제유가, 쿠르드 수출 재개 “급락” | 2025-09-30 | ||
[국제유가] 국제유가, 러시아 수출 차질 “상승” | 2025-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