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EU FTA, 수출증대 효과 있다
화학제품 중 PS 수출증가율 345%로 최대 … 발효 1주년 분석
화학뉴스 2012.06.27
한국-유럽연합(EU) 자유무역협정(FTA) 발효 1주년을 앞두고 FTA가 국내 주요산업의 EU 수출 확대와 외국인 투자 유치에 효과가 있었다는 분석이 나왔다.
6월27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원장 오상봉)이 발표한 '한-EU FTA 발효 1주년 성과와 과제'보고서에 따르면 한-EU FTA 발효 후 9개월간(2011년 7월∼2012년 3월) 우리나라의 대 EU FTA 수혜품목(관세가 인하된 품목) 수출은 전년동기보다 16.5% 증가했다. 이는 EU의 전체 수입 증가율 5.8%를 웃도는 것이다. 일본(-1.1%)과중국(-0.3%), 타이완(-3.5%)에 크게 앞서는 것으로 FTA에 따른 관세인하 효과가 가시적으로 나타났다고 연구원은 분석했다. 품목별로 보면 LCD(액정표시장치) TV(1659.8%)의 수출증가율이 1659.8%로 가장 높았고 제트유(1163.0%), 기어박스(1528.6%), 디젤 소형차(668.0%), PS(Polystyrene) 합성수지(344.9%), 카 스테레오(150.4%), 프레스 금형(171.6%) 등의 순이다. 그러나 FTA 비수혜품목(관세 0% 품목과 미개방 품목 등)의 수출이 22.1% 감소하면서 전체 수출(EU 수입통계 기준)은 3.6% 줄었다. 한-EU FTA는 투자 유치 확대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FTA 발효 이후 올해 3월까지 EU의 대한국 투자금액은 전년 동기 대비 60.5% 늘어난 35억7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EU의 국내 투자규모가 2010년 7월∼2011년 3월 48.8% 감소했던 점을 고려하면 한-EU FTA 발효가 큰 역할을 한 것이라고 연구원은 설명했다. 무역협회 통상연구실 명진호 수석연구원은 "중소업체의 FTA 활용 지원, 외국인 투자 유치 등에 정책 초점을 맞춰 FTA 효과를 극대화는 데 힘써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국-EU FTA는 2011년 7월 1일 발효됐다. <저작권자 연합뉴스 - 무단전재ㆍ재배포 금지> <화학저널 2012/06/27>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화학무역] 화학무역, EU FTA 수혜 상당하다! | 2021-06-30 | ||
[화학무역] 동서석유화학, FTA 최대 수혜기업 | 2018-11-21 | ||
[산업정책] 석유화학, 한-미 FTA 폐기 “주시” | 2017-09-06 | ||
[화학무역] 화학산업, 한국-중국 FTA “역효과” | 2016-12-13 | ||
[석유화학] 석유화학, 콜롬비아와 FTA 기대… | 2016-07-14 |